문희상 국회의장이 25일 패스트트랙 지정의 ‘마지막 고비’로 꼽힌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의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 사·보임을 결국 승인했다. 문 의장은 이날 오전 병실에서 국회 의사국장을 만나 대면 보고를 받은 뒤 서명했다.
같은 시간, 오 의원 사·보임에 반대하는 유승민 의원 등 바른미래당 내 바른정당계 인사들도 병실을 찾았지만 문 의장을 만나지 못했다. 의장 측은 “의료진이 건강상의 이유로 면회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바른정당계 인사들과의 만남을 피했다.
오 의원은 즉각 반발했다. 오 의원 측은 “문 의장이 본인의 사개특위 위원직을 교체하도록 허가한 것에 대하여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며 “즉시 헌법재판소에 효력정지에 대한 가처분신청과 함께 불법 강제 사보임에 대하여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하였다”고 입장을 밝혔다.
문 의장은 전날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항의 방문 과정에서 쇼크 증세를 호소하며 병원에 입원했다. 안정을 찾아가던 문 의장은 이날 오 의원 등 바른정당계 인사들의 항의 전화를 받고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 의원은 이날 오전 문 의장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에 대한 사·보임계 승인을 미뤄달라면서 직접 만나 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바른미래당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법안에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힌 오 의원에 대한 사·보임 신청서를 국회 의사과에 팩스로 제출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은 오전부터 긴박하게 각 당 회의 등을 소집하며 패스트트랙 지정을 위한 국회 사개특위와 정개특위 개의 여부를 조율하고 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패스트트랙 지정이 차질 없이 완수될 수 있도록 사개특위 및 정개특위 위원들께서는 25일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국회에서 비상 대기해 주시기 바란다”고 민주당 의원들에게 공지했다.
패스트트랙 지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한국당도 각 의원실에 “비상대기를 바란다”고 공지한 상태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