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경제성장률이 -0.3%를 기록했다. 수치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4분기 이후 10년여 만에 최저다. 또 5개 분기 만의 역(逆)성장이다. 국내외 경기둔화에 따른 내수와 수출의 동반 하락이 마이너스 성장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9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보면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은 이같이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것은 속보치로 추후 집계될 잠정치와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경제성장률을 뜻하는 전기 대비 실질 GDP 증가율은 -0.3%였다. 2008년 4분기(-3.3%) 이후 최저다. 지난 2017년 4분기(-0.2%) 이후 또다시 뒷걸음질 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성장률은 1.8%로 이 역시 2009년 3분기(0.9%) 이후 9년 반 만에 최저였다.
내수와 수출, 수입 등 GDP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인이 부진했다. 전기 대비로 수출과 수입은 각각 -2.6%, -3.3%였다. 설비투자는 -10.8%, 건설투자는 -0.1%를 기록했다.
특히 내수의 핵심인 설비투자는 1분기 -10.8%로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1분기 -24.8%를 기록한 이후 약 21년 만에 최악이었다.
소비도 좋지 않았다. 1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0.1%로 2016년 1분기 -0.2% 이후 3년 만에 최저였다. 의료 등 서비스와 의류 등 준내구재 소비가 민간소비 감소를 이끌었다.
수출과 수입도 저조한 분위기를 이어갔다. 1분기 수출은 전 분기 대비 -2.6%로 2017년 4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LCD 등 수출 주력상품의 저조가 수출에 타격을 줬다.
수입도 -3.3%로 2011년 3분기 -4.2%를 기록한 이후 30분기 만에 가장 낮았다. 수출이 감소하면서 기계 및 장비, 광산품(원유·천연가스) 등 주요 품목의 수출도 줄었다.
한은 측은 “반도체 경기 둔화와 기계류 투자 감소 등으로 설비투자 감소율이 컸다”며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이기도 하지만 성장률이 좋았던 지난해 4분기 기저효과도 일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