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4·19 혁명 59주년을 맞은 19일, 문재인정부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자유한국당을 독재정권의 전신으로 규명하며 대치 국면을 이어갔다.
이해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4·19 혁명은 59년 전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맞서서 과감히 일어난 시민혁명”이라며 “대한민국 정통성의 근원인 동시에 민주주의의 원천”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4·19 정신이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부활해 부마항쟁과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촛불혁명으로 도도하게 이어져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을 밝히는 횃불이 됐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원내대표 역시 “4·19 정신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만든 기틀이 되었다. 그 정신이 부마항쟁과 5·18민주화운동, 6·10항쟁, 그리고 촛불혁명으로 이어져 위대한 민주주의 역사를 만들었다”며 그 의미를 부여했다.
문재인정부 탄생의 결정적 역할을 한 촛불 집회를 4·19 혁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혁명으로 규정, 현 정부의 역사적 정통성을 부여한 것으로 읽힌다.
반면 한국당에 대해선 시민혁명을 초래한 ‘권위주의 정권의 후신’이라고 주장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홍 원내대표는 “최근 민주주의의 역사를 부정하는 세력이 준동하고 있다. 그것도 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해야 할 국회 안에서 독버섯처럼 자라나고 있다”고 한국당을 겨냥했다.
이어 “반민특위 활동을 왜곡하고 군사 독재와 쿠데타 정권에 맞섰던 5·18의 역사를 날조하는 상상도 못할 망언이 제1야당의 입에서 쏟아져 나왔다”면서 “민주주의의 가치를 부정하는 세력이 국회에 발붙이게 해서는 안 된다. 5·18과 세월호 망언 의원들은 즉각 국회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며 한국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박광온 최고위원도 한국당에 대한 공세를 거들었다. 그는 “4·19 혁명 당시 정권이 국민들을 향해서 총을 쐈다. 똑같은 일이 1980년에도 벌어졌다. 그 정권들은 자유한국당의 전신 정권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한국당이 지금도 이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치 폭력이 아직도 자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색깔론에 기반한 혐오 정치, 허위조작 정치로 국민을 편 가르기하고, 정치적 이득을 얻는 악습을 끊어내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