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7년 1억7600만TOE 수준이었던 최종에너지 수요를 2040년까지 약 2.3% 줄이는 내용의 장기 에너지 계획을 발표했다. 미세먼지·온실가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 발전은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35%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담겼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에너지기본계획은 5년 주기로 수립되는 계획으로 향후 20년간 중장기 에너지 정책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한다.
산업부는 계획안에서 최종에너지 수요가 2040년까지 2억1100만TOE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1억7600만TOE에서 연평균 0.8%씩 증가하는 셈이다. 정부는 전망치보다 수요를 더 감축시키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2040년까지 1억7180만TOE까지 줄인다는 계획이다. 전망치보다 18.6%가 줄어든 수치다. 2017년부터 2040년까지 연평균 0.1% 감소하는 밑그림이다.
정부는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5대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35%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전문가 태스크포스(TF)는 지난 2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30% 이상 수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권고안을 제시한 바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는 대신 석탄발전 비중은 줄이다. 석탄발전 감축 목표는 올해 안에 수립될 제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제시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수요관리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을 에너지 기기·설비에 접목해 에너지 수요를 실시간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미활용 열, 가스·지역 냉방, LNG 냉열 등 비전력 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태양광이나 전력저장시스템(ESS) 등 분산·참여형 에너지시스템 확대, 에너지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에너지전환을 위한 기반 확충도 정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숙제다.
산업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국회 보고, 에너지위원회·녹색성장위원회·국무회의 심의 등 절차를 거쳐야 한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