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은 최근 소상공인들의 폐업이 속출하는 등 11.15지진 여파를 벗어나지 못한 채 지역 상권이 위기를 맞고 있다.
18일 포항시에 따르면 종사자 10인 또는 5인 미만의 소상공인은 지난 한 해 3만2317명에서 2만9742명으로 2575명 7.9% 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1.8% 감소한 것과 비교해 4배 정도 높았다.
상가도 1만6520곳 중 빈 곳이 1550곳으로 공실률이 9.4%에 이른다.
북구 장량동과 우창동은 점포 공실률이 각각 23.7%, 21%였으며 남구 상대동 22%, 청림동 17.2%로 다른 곳보다 높았다.
포항시는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 11.15지진 여파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 17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지역 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내놓았다.
소상공인 특례보증 포항시 부담 이차 보전율을 현행 2%에서 3%로 상향하고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 빈 점포 임대료, 1인 자영업자 고용보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포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현행 1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늘리고 하반기 모바일상품권 도입, 외지 단체 관광객 대상 할인 판매 등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다.
올해 40곳 303억원이 투입되는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특히 이번 정부 추경에 포항지역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현실을 고려한 국비 건의를 더욱 많이 제출하기로 했다.
또 일자리서민경제, 투자기업 지원, 신산업 발굴 등 세 개 반으로 구성된 ‘경제 살리기 범시민 대책반’ 활동을 내실화하고, 오는 6월 ‘포항 시민의 날’을 전후로 ‘소비자 중심도시 포항 선포식’을 갖기로 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어려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기업․기관을 중심으로 한 소비촉진과 외지 관광객 유치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지역의 모든 경제 주체들과 논의를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는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