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는 지난 11일 ‘저비용 고효율’의 생활밀착형 사업을 위한 첫 번째 추경예산을 확정했다.
이번 추경예산은 총 2800억원 규모로 도로, 일자리, 환경 등 예산의 긴급성을 고려해 오랫동안 예산에서 후순위로 밀려 온 시민들의 만성 불편 해결에 편성된다.
가장 주력하는 분야는 소규모 도로 사업이다. 총 225억원을 투입해 주요 나들목과 교차로의 정체 구간을 해소하고, 시야 확보를 위한 안전시설물도 촘촘히 설치한다.
특히, 출퇴근길 지정체가 빈번해 시민들의 불편이 지속됐던 일산 IC 일원 등에 우회로 확보 등 맞춤형 처방으로 교통 혼잡 개선에 나선다.
일자리사업에도 44억원을 긴급 투입한다. 특히 ‘기회가 박탈된 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에게 창업과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28청춘창업소, 창업지원센터, 내일꿈제작소 등 참신하고 내실 있는 청년들이 아이디어 구상과 활동 공간을 조성한다.
주민들이 자원을 나누고 문화를 함께 즐기는 공간인 ‘마을공작소’ ‘농기계 대여소’ 등을 조성해 주민 편의를 확대한다. 단순히 민원 보는 곳으로만 여겨졌던 구청 2층도 보강해 시민들이 휴식과 소통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대하는 등 나눠쓸수록 가치가 확산되는 ‘공유경제’를 실현한다.
당면한 불편 해소와 함께 미래 30년 이후를 위한 장기사업에도 예산을 배분했다. 일산테크노밸리 사업비로 현금출자와 특별회계를 통틀어 519억원을, 신청사 건립 기금으로 500억원을 투자해 지지부진했던 숙원사업의 첫 단추를 꿰게 됐다. 내년 도시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287억원을 투입해 장기미집행공원 토지매입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미세먼지 대응도 강화한다. 마스크 보급 등의 긴급 예산과 함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가로수길을 관내 4대 하천에 조성해 도시의 생명길이자 명소길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발전설비를 확충하고 녹색건축물 조례로 공공시설 내 친환경 설비도 의무화한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시민들의 정책 체감도는 예산 규모로 결정되지 않는다. 작은 예산이라도 꼭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며 “저비용 고효율의 생활밀착형 사업을 꾸준히 발굴해 시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행정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