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이낙연 총리 대북특사 가능성에 “사실무근”

입력 2019-04-12 16:32 수정 2019-04-12 16:34

청와대가 이낙연 국무총리의 대북 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특사를 비롯한 대북 접촉안은 방미를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귀국하는 대로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은 12일 출입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이낙연 총리의 대북특사 파견설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이 총리를 중심으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등이 조만간 대북특사로 방북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청와대가 무게감 있는 인사로 특사단을 꾸려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복귀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만간 남북 정상회담이 있을 것이라는 논의가 나온 만큼 대북특사를 포함한 다양한 북한과의 접촉 지점을 찾고 있다. 하지만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것 없다”고 말했다. 이낙연 총리도 관련 가능성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정의용 실장은 지난 4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대북특사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최종안은 문 대통령의 귀국 이후 조율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대북특사가 현실화한다면 이번에도 정의용 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 두 차례 특사로 평양을 다녀왔다. 청와대는 2차 특사를 파견할 때도 1차 때와 같은 인사로 특사단을 꾸렸다. 정 실장과 서 원장을 포함해 김상균 2차장, 천해성 차관, 윤건영 실장이 연이어 평양으로 떠났다. 논의의 연속성 등을 고려했다는 게 당시 청와대의 설명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특사단이 꾸려진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북한을 찾게 될 것”이라며 “다만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