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해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미래 수산업 분야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
충남도는 12일 도청에서 김용찬 행정부지사와 각 시군, 각계전문가 등 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해삼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을 맡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해산삼업 클러스터가 조성될 경우 2032년까지 해삼생산량 연 6000t, 매출액 5000억원 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현재 생산량의 5배, 매출액은 15배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273개 지역(3187㏊)에서 생산된 해삼량은 약 1200t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도내 해삼 생산 가공 기반이 취약한 탓에 저부가가치인 자숙이나 염장, 건해삼 등으로 만들어 중화권 국가로 수출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종자부터 중간육성, 양식, 가공, 유통·판매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기반 시설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보령시와 태안군을 충남 해삼특구로 지정, 개별 규제를 완화하고 해삼산업이 지역 내 특화산업으로 발전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해삼 서식지 조성을 통해 해삼종자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해삼양식시설 현대화를 추진한다.
이후 중장기 목표로 해삼가공 거점지원센터와 해삼수출 지원센터를 구축하고, 국립해삼연구소 및 한국해삼공사 설립 등을 추진한다.
김용찬 행정부지사는 “해삼은 김, 바지락, 굴과 함께 충남의 4대 명품 수산물”이라며 “해삼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대외경쟁력을 향상하고 미래 수산업 기반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