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녀 10명 중 6명은 문재인정부의 일자리정책을 두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경제개혁연구소가 11일 발표한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65%는 정부 정책이 일자리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없다’고 답했다. 경제개혁연구소는 2009년 7월 이후 매 분기마다 정기 여론조사를 진행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경제개혁연구소의 의뢰로 한길리서치가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6~9일간 실시했다.
‘실효성이 없다’는 답변은 65.0%였고 ‘그렇다’는 25.4%에 불과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정 평가는 50대 남성(77.3%)이 많았다. 생산직(76.7%), 자영업(74.9%) 계층도 부정적으로 봤다.
일자리의 양이 아닌 질을 평가하는 항목에서도 실효성이 없다는 부정 평가가 63.3%였다. 실효성이 있다는 긍정 평가(29.3%)를 압도했다. 부정 평가는 1년 전 조사와 비교해 10.8%포인트 늘었고 긍정 평가는 15.3%포인트 줄었다.
문재인정부의 지지층으로 꼽혔던 30대 이탈이 눈길을 끈다. 30대는 1년 전 조사 당시 긍정 평가 여론이 부정 평가보다 높았던 유일한 계층이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선 긍정 평가가 29.1%, 부정 평가가 62.9%로 크게 역전됐다.
한편 문재인정부 정책이 ‘대기업 중심’이라는 답변은 37.7%였다. 이는 현 정부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 47.8%였던 것과 비교하면 10.1%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의견을 유보한 데 따른 감소인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중심'이란 답변도 줄었다. 1년 전 38.6%에서 10.2%포인트 줄었다. 의견 유보 응답은 1년 전 13.6%에서 33.9%까지 수직 상승했다.
정부의 세금정책에 대한 평가도 비슷했다. ‘부유층에 유리하다’와 ‘서민에 유리하다’는 답변은 각각 1년 전보다 8.6%포인트, 8.5%포인트씩 줄어 41%, 29.7%를 나타냈다. 의견 유보 응답은 12.2%에서 29.3%로 올랐다.
경제개혁연구소는 “정부 정책이 대기업이나 부유층 중심이라는 평가는 줄었으나 이것이 중소기업이나 서민 중심이라는 평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해석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