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수돗물’ 대신 ‘산업용수’ 공급 협약

입력 2019-04-10 15:04 수정 2019-04-10 16:18

기장군 등 부산 동부지역의 수돗물 공급을 위해 사업비 2000여억원으로 건설된 해수담수화 시설이 준공 5년 만에 ‘산업용수’ 공급용으로 가동하게 됐다.

부산시는 10일 서울스퀘어에서 환경부(장관 조명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 두산중공업(대표 박지원) 등과 해수담수화에서 생산된 물을 ‘수돗물’ 대신 ‘산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의 가동 및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이들 기관은 수요처 발굴, 산업용수 생산 및 공급, 기술개발을 통한 유지관리 비용절감 등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고, 관계기관 간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오늘 체결한 관계기관 간 협약이 새로운 해결방안을 찾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며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시민들이 불안해하는 한 해수담수화를 결코 시민들의 식수로 쓰지 않는다는 것이 시민중심 민선7기의 정책결정”이라며 “다만, 물에 대한 안정성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었기에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최대한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은 2009년부터 국비 823억원, 시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모두 1954억원을 들여 2015년 완공됐다. 역삼투압 방식의 해수담수화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시는 하루 4만5000t의 수돗물을 생산해 5만여 가구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고리원전과 11㎞ 떨어진 곳에 있는 해수담수화 시설은 방사능 오염 논쟁, 시설 소유권 해석, 운영비 갈등 등이 겹치면서 현재 가동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