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빠르고 들쭉날쭉한 심장박동’ 부른다

입력 2019-04-10 11:54
뉴시스

초미세먼지(PM2.5)가 들쭉날쭉한 심장 박동을 보이는 심방세동 위험을 높인가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PM2.5가 10㎍/㎥ 증가할 때마다 3일 뒤 심방세동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4.5% 증가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강시혁 교수, 공공의료사업단 권오경 교수(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파견) 연구팀은 대기오염에 따른 심방세동 발생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유럽 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3월호에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심장의 정상적 리듬이 깨진 상태를 부정맥이라고 한다. 그 중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심방세동은 심방이 불규칙하고 빠르게 뛰는 질환이다.
고혈압, 당뇨병, 기저 심혈관질환 등 위험인자가 동반된 경우에 호발한다. 비만, 음주, 과도한 운동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을 포함한 부정맥은 자각 증상이 없거나 비특이적인 양상으로 인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다. 때문에 치료가 늦어지면 뇌졸중, 뇌경색, 심장마비, 심부전 같은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하고 사망까지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에 거주한 30세 이상 인구 12만4000여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해 평균 7.9년 간 대기오염이 심방세동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기간 동안 서울시의 일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5.0㎍/㎥, 미세먼지(PM10) 농도는 49.1㎍/㎥였다.
나아가 PM2.5 농도가 10㎍/㎥ 증가하면 3일 후 심방세동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율이 4.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등은 심방세동 발생과 무관한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다른 심혈관계 질환은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질환의 위험도가 상승할 수 있지만, 심방세동은 대기오염의 장기간(수년에 걸친) 노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강시혁 교수는 이에 대해 “대기오염은 장기적으로 동맥경화성 질환을 유발하고 단기적으로는 자율신경계 균형을 파괴할 수 있는데, 심방세동은 심장의 전기적인 심장박동이 저해되면서 발생하는 만큼 자율신경계 균형과 연관성이 높다”며 “이전부터 심방세동이 있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던 환자가 고농도의 초미세먼지에 노출되면서 자율신경계 균형이 무너지고 결국 심방세동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오경 교수는 “평소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다면 초미세먼지나 대기오염이 심한 날에는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심장에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바로 전문의를 통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