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 8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서 “우리의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회에서) 충돌이 벌어진 것 아니겠나”라며 폭력 시위 논란에 사과의 뜻을 밝히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질서와 평화를 최대한 지키면서 집회를 하려고 한다”면서도 “탄력 근로제 기간 확대 요건 완화를 위한 여야 간 합의에 참가하기 위해 국회 참관을 요청했는데 막혔다. 국회 안에 아예 민주노총이 들어올 수 없도록 하니까 그런 충돌이 좀 있었던 것 같다”고 폭력 시위가 벌어진 배경을 설명했다.
‘사과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진행자 질문에 김 위원장은 “글쎄요”라며 “‘질서 안에서 행동하라’는 말이 문제나 진실을 드러내지 못하게 하는 한계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 한계 때문에) 몸으로 밀고 들어가는 일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답변을 진행자가 “안타깝지만 사과할 사안은 아니다(는 의견이냐)”라고 정리하자 김 위원장은 “의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저희의 의견이 많이 막혀 있었기 때문에 충돌이 벌어졌다고 생각한다”며 비슷한 대답을 반복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3일 국회 앞에서 대규모 결의대회를 열었다. 김 위원장을 포함한 간부급 조합원들은 이날 오전 10시 45분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소위원회에서 노동법 개악 논의를 중단하라며 국회 진입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국회 담장을 무너뜨리고 담을 넘는 등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을 빚어 부상자도 발생했다. 결국 김 위원장을 포함한 조합원 일부는 경찰에 연행됐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지난 5일 논평을 내고 “민노총이 지난 3일 노동법 개정에 반대하며 국회에 난입하려는 과정에서 불법폭력 행위를 자행했다”고 비판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지난 7일 인터뷰에서 “민주노총이 3일에 보여준 투쟁 방식은 이해가 안 간다”며 “민주노총 조합원이 100만 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지난번 지도부의 총파업 지시에는 3200명만 참여했다. 민주노총 지도부의 행동은 대다수 조합원의 생각과 괴리가 있다”고 쓴소리를 했다.
민노총의 불법행위 논란을 수사해야 한다는 여론이 빗발치자 민갑룡 경찰청장은 8일 “주동자를 엄정하게 사법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