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8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김연철 통일부 장관을 끝내 임명했다. 하지만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두 야당의 분위는 사뭇 다르다. 민주평화당은 “후퇴할 줄 모르는 코드인사는 후회로 끝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지만 정의당은 “두 장관 임명의 불가피함은 이해된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기류 변화는 지난 4․3 재보궐 선거의 영향으로도 해석된다. 정의당은 민주당과 단일 후보를 내 당선된 만큼 어느 정도 협조적으로 나온 것으로 풀이되고, 호남에서 민주당을 꺾고 기초의원을 당선시킨 평화당은 여당과 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호남 민심을 잡기 위해 본격적으로 정부 여당과 경쟁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민주평화당은 이날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오기 인사 ‘끝판왕’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며 청와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국정지지도는 대통령 선거 당시 지지도를 위협하는 수준까지 내려왔다. 끊임없는 정책적 헛발질에 오만과 독선이 그 원인”이라며 “인사는 만사라 했다. 후퇴할 줄 모르는 코드 인사는 후회로 끝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정의당은 “청문회 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혹이 해당 부서 장관으로서 결정적 하자와 직무 수행 부적합이라 할 수 없다”며 “통일부의 막중한 무게와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의 노력이 요구 되는 점을 고려했을 때 두 장관의 임명의 불가피함은 이해된다”고 논평했다. 다만 정의당은 “청와대의 철저한 인사검증 시스템 보완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면서도 자유한국당을 향해 “제발 정쟁이 아닌 민생 경쟁에 나서길 촉구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 교섭단체 구성도 난관을 겪고 있어, 인사 강행에 대한 두 정당의 입장 차가 더욱 주목된다.
청문회 과정부터 두 정당은 미묘하게 입장이 달랐다. 호남 출신인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와 조동호 과학기술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내부적으로 불만이 쌓였다고 한다. 평화당은 이때도 “만만한 사람을 정리하는 모습은 비겁하다. 전형적인 꼬리 자르기”라고 비판했었다.
반면 정의당은 당내 의견을 종합해 부적격 후보자 명단을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4․3 재보궐 선거 등을 이유로 부적격 명단을 추가로 발표하지 않았다.
평화당과 정의당은 지난해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고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고 노회찬 의원의 사망 이후 교섭단체 구성 기준인 원내 20석을 채우지 못하면서 활동이 중단됐다. 정의당은 여영국 의원의 당선으로 평화당과 다시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겠다는 방침이지만, 평화당 내부에서 이견이 있어 논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