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사이드] 재건축 앞둔 창성동 별관…공직감찰반 어디로?

입력 2019-04-08 16:27

창성동 별관 재건축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청와대 공직감찰반(구 특별감찰반)이 새 사무실 구하기에 돌입했다. 다만 보안이 생명인 공직감찰반의 업무 특성을 고려할 때 적당한 보금자리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창성동 별관은 내년 10월(잠정)부터 재건축에 들어간다. 경복궁 주변인 서울 종로구 효자로에 위치한 창성동 별관은 1959년 준공돼 올해로 61년째를 맞았다. 4302㎡ 부지에 연면적 7639㎡ 규모의 5층짜리 건물이다. 정부는 준공 이후 국민대가 교육 시설로 쓰던 건물을 1981년 매입해 정부 청사로 활용해 왔다. 주로 정부 소속 위원회나 태스크포스(TF)가 입주해 업무를 수행했다.

별관 재건축은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이 계기가 됐다. 행정안전부 청사관리본부는 이듬해 안전진단 및 내진성능평가 용역을 진행했다. 그 결과 창성동 별관은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채 지어진 것으로 판정됐다. 안전진단에서도 D등급을 받았다.

아직 재건축까진 1년 넘게 남았지만 별관 입주 기관들을 중심으로 새 둥지 찾기가 한창이다. 현재 창성동 별관에는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와 문정인·임종석·한병도 특보의 사무실이 입주해있다. 이들은 정부서울청사 내 행정안전부가 쓰던 8개 층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지난 1월부터 세종시 등으로 이주를 이미 시작했다.

문제는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실 산하 공직감찰반이다. 공직감찰반은 별관 2층에 입주해 있다. 지난해 12월 검찰이 청와대의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곳도 바로 이곳 이었다.

공직감찰반은 특보 사무실 등과 별개로 행안부 건물 입주가 어려울 전망이다. 현재 외교부, 통일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서울청사에 계속 머무는 부처들이 행안부의 빈자리를 노려 공간 확장을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공직감찰반은 특정인을 불러 조사하는 부서인만큼 보안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청와대 내 여민관 등에 자리를 잡기도 어렵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평가다. 창성동 별관은 청와대와 가깝고, 광화문 등에 비해 인적이 드물어 대인 조사가 용이했다. 만약 공직감찰반이 서울청사로 들어갈 경우 출입 통제 등이 철저해 조사 대상이 노출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무실이 어디로 가야할지는 행안부에서 나중에 정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행안부 관계자도 “일단 내년 하반기까지는 상황을 보고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