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성범죄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 수사단(단장 여환섭 청주지검장)이 2012년 말 있었던 건설업자 윤중천씨 부부와 윤씨 내연녀 권모씨의 간통·성폭행 맞고소 사건 자료를 주목하고 있다. 서울 서초경찰서가 수사한 이 사건은 김 전 차관 사건의 발단이 됐다. 검찰은 여기에 관련 단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경찰청을 압수수색해 이 사건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수사단 관계자는 7일 “권씨 고소 사건 과정에서 자료가 많이 제출됐는데 경찰은 그 자료들을 딱 그 사건과 관련해서만 살펴봤다”며 “지금 와서 다시 보면 현재 사건과 관련해 의미 있는 단서를 발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출된 휴대전화, 노트북, 피씨 등에 대한 포렌식을 당시 모두 경찰청에서 했다”며 “자료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경찰청 디지털포렌식 센터를 압수수색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차관 사건은 앞서 서초경찰서에서 진행된 윤씨 부부와 권씨의 맞고소전을 통해 드러났다. 권씨가 윤씨를 고소하면서 지인들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중 한 명인 최모씨가 경찰에 “윤씨에 강간을 당했다. 돈을 받고 김 전 차관과 성관계를 한 적이 있다”고 진술하면서 사건이 불거졌다. 문제의 ‘원주 별장 동영상’도 이 사건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됐다. 권씨의 ‘입’을 통해 원주 별장을 드나든 유력자들의 이름도 나왔다.
검찰은 지난 4일 경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영장 문구에 대한 해석이 불명확해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후 영장을 재차 발부 받은 뒤 5일 압수수색을 시작했다. 디지털 자료 확보에는 시간이 걸려 다음주 초까지 절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2013년 경찰청 특수수사과 수사 과정에서 경찰이 포렌식한 자료도 확보할 방침이다. 시간이 많이 흘러 남은 단서를 찾기 어려워진 만큼 기존 수사 기관에서 확보한 자료를 최대한 찾아내 수사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검찰은 김 전 차관에게 뇌물을 건넨 의혹을 받고 있는 윤씨의 주변 인물을 불러 참고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한편 대검찰청 과거사 진상조사단(조사단) 소속 민간위원 8명은 이날 “문무일 검찰총장은 조사단에 대한 외압에 엄정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지난 5일 조사단에 대한 감찰요청서를 제출하겠다고 밝힌 데 대한 항의 차원이다.
구자창 안대용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