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공기청정기 9개 중 4개는 효과 없었다

입력 2019-04-04 17:52
사단법인 소비자시민모임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9개 브랜드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품의 공기청정화능력, 유해가스 제거율, 오존 발생농도, 적용면적, 소음 등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4개 제품은 공기청정화능력이 0.1㎥/min 미만으로 공기청정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7개 제품은 유해가스 제거율이 미흡하다고 밝히고 있다. 뉴시스


미세먼지가 극심해지면서 차량용 공기청정기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 중 절반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시민모임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품 9개의 공기청정화능력(CADR), 유해가스 제거율, 오존 발생농도 등에 대한 성능시험 및 내장 필터의 유해물질 안전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4개는 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4일 밝혔다.

우선 단위 시간당 오염 공기 정화량인 CADR의 경우 9개 가운데 4개 제품이 0.1㎥/분 미만으로 나타났다. 생산자 모임에서 제정한 단체표준의 소형 공기청정기 청정 능력 범위는 0.1∼1.6㎥/분이다.


제품별로 보면 ‘필립스 고퓨어 GP7101’이 0.25㎥/분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반해 아이나비의 ‘아로미에어ISP-C1'과 에어비타 ‘카비타 CAV-5S', ‘크리스탈 클라우드’, 알파인의 ‘오토메이트G' 등 4개 제품은 0.1㎥/분 미만이었다.

제품에 표시된 것과 실제 성능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제품에 CADR 수치를 표시한 제품은 5개 뿐이었다. 또 이들 제품 중 3개의 실제 성능은 표기한 것의 30∼65% 수준에 불과했다. 필립스 고퓨어는 CADR을 0.38㎥/분으로 표기했고 테크데이타의 ‘ForLG 에어서클’의 실제 성능은 0.2㎥/분이었지만 표기한 수치는 두 배 이상인 0.45㎥/분이었다.

차량 내 발생하는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제거능력도 기준치를 밑돌았다. 9개 제품 중 7개의 유해가스 제거율은 기준치인 60% 이상에 못 미치는 4∼23%에 그쳤다.

또 카비타 CAV-5S와 오토메이트G, 크리스탈 클라우드 등 음이온식 차량용 공기청정기에선 오존이 발생했다. 오존은 기준치 이하라도 실내에 누적되는 만큼 밀폐된 차량 내부에선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소비자시민모임의 설명이다.

소비자시민모임 측은 “소비자가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제조업체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