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노조가 ‘광주형 일자리’ 성사를 적극 도운 전 광주지회장 등 2명의 조합원 제명을 추진해 논란이다.
노조 측은 광주형 일자리 철회 3년 투쟁에 돌입한 상태다.
금속노조 기아자동차지부는 “지난 1일부터 진행 중인 정기대의원대회 3일째 회의에 박병규, 이기곤 전 광주지회장 2명의 조합원 자격 박탈 문제를 첫 안건으로 상정했다”고 3일 밝혔다.
기아차 노조는 단체협약에 따라 조합원이 정무직에 진출할 경우 휴직을 허용하고 조합원 자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광주시 경제부시장을 지낸 박병규 전 광주지회장 등은 현재 조합원으로 가입돼 있다.
제명 대상에 오른 박병규 전 부시장(현 광주시 사회연대일자리 특보)과 이기곤 전 지회장은 노조가 반대한 광주형 일자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왔다.
지난 1일부터 경기 광명시 소하일 공장에서 정기대의원 회의를 개최 중인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 때 제시할 임금인상 요구안과 함께 두 전 광주지회장의 조합원 박탈문제를 안건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박병규 전 광주지회장은 민선 6기 윤장현 전 광주시장 당시 경제부시장으로 발탁됐다.
윤 전 시장의 핵심 측근으로 올 초 광주시와 현대차가 투자협약을 체결한 광주형 일자리 성사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현재 민선 7기 광주시 사회연대일자리 특보를 맡고 있다.
이기곤 전 지회장 역시 2014년 자동차산업밸리추진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광주형 일자리 추진에 노동계를 대표해 힘을 보탰다. 한국노총 광주의장과 함께 원탁회의를 이끌었다.
하지만 기아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타결 이후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차 노조와 함께 이를 강력히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가 조합원 자격을 박탈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기아차 노조는 “문재인 정권이 정경유착 노동적폐 1호인 광주형 일자리 협약을 체결하고, 반노동 친재벌 정책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