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보궐선거의 판세가 여러 돌발 악재 속에서 혼전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당 프리미엄을 기대했던 더불어민주당은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자유한국당은 황교안 대표의 축구장 유세 논란으로 홍역을 앓았다.
여야 지도부는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2일 경남 창원 성산, 통영·고성에서 유세를 지원하고 있다. 두 곳은 국회의원 선거구다. 기초의원의 경우 경북 문경 나·라 선거구, 전북 전주 완산 라 선거구에서 투표가 진행된다. 선거구 5곳 중 4곳이 영남이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모두 경남이다. 경남은 한국당의 전통적인 표밭이지만, 가장 최근 선거인 지난해 6·13 지방선거의 승자는 김경수 경남지사가 소속된 민주당이었다.
민주당이 가장 피하고 싶은 구호는 정권 심판론이다. 김 전 대변인의 부동산 투기 의혹에 따른 사퇴(민주 0 : 1 한국), 문재인정부 2기 내각 구성 과정에서 추천된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민주 0 : 2 한국)는 야당의 집중공세를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악재도 돌출됐다. 설훈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김 전 대변인과 장관 후보자들의 부동산 논란에 대해 “지금 장관 연배인 50대 후반의 젊은 시절, 위장 전입이나 부동산 투기가 통상화된 사회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투기를 두둔한 설 최고의원의 발언(민주 0 : 3 한국)으로 민주당은 호된 역풍을 맞았다.
한국당이 느긋하기만 한 건 아니다. 여러 자충수로 텃밭의 표심을 스스로 흔들었다. 가장 큰 악재는 지방세로 운영되는 프로축구 도민구단에 ‘벌금 폭탄’을 안긴 황 대표의 경기장 유세 논란(민주 1 : 3 한국)이다.
황 대표는 경남FC와 대구FC의 K리그1 4라운드가 열린 지난달 30일 경남 창원축구센터 관중석에서 창원 성산에 출마한 한국당 소속 후보를 지원 유세했다. 황 대표와 후보자, 한국당 관계자들은 당색인 붉은색 점퍼를 입었다. 후보자의 경우 점퍼에 이름·기호를 노출했다.
이로 인해 경남 구단은 이날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위원회로부터 제재금 2000만원 징계를 받았다. 한국프로축구연맹과 대한축구협회는 물론 두 단체의 상급 기관인 국제축구연맹(FIFA)은 장내의 모든 정치 선전을 금지하고 있다. 모기업이 없는 도민구단인 경남의 제재금 중 상당수는 지방세에서 충당될 수밖에 없다.
당권주자였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같은 선거구 지원 유세 중 악재를 만들었다. 오 전 시장은 지난 1일 창원 반송시장에서 후보자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던 중 창원 성산구 의원이었던 고(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을 언급하며 “돈을 받고 목숨을 끊은 분”이라고 말했다(민주 2 : 3 한국).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패륜 집단”이라고 반발했다.
통영·고성 선거구의 한국당 후보가 지역신문사 기자에게 돈 봉투를 건넸다는 의혹(민주 3 : 3 한국)도 불거졌다. 이 기자는 라디오에 출연해 “돈 봉투를 받았다”는 통화 녹음파일을 공개했지만, 한국당은 “선거캠프 관계자가 아니다”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