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광역시 한 곳이 국제관광도시로, 기초지방자치단체 4곳이 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된다. 또 K팝, e스포츠 등 한류·비무장지대(DMZ) 등이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된다.
정부는 2일 인천 송도 ‘경원재’에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대한민국 관광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22년 외래관광객 2300만명, 관광산업 일자리 96만명을 이룬다는 목표다.
관광 혁신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서울, 제주에 이어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를 ‘국제(Global)관광도시’로 선정해 전략적·집중적 홍보 마케팅 및 도시 브랜드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해당 지역이 세계인이 찾는 국제 관광지로 부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정 수준의 기반시설(인프라)과 관광 매력을 갖춘 기초지자체를 ‘관광거점도시’로 선정해 범부처적 협력을 통해 관광기반시설(인프라), 콘텐츠 발굴, 마케팅 등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지역관광의 중심지(허브)로 육성한다.
이와 함께 최근 급증하는 개별관광객의 비자 발급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지금까지 4개 지역만 허용했던 중국의 복수비자 발급을 소득수준 상위 13개 지역으로 확대하고, 동남아 3개국(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단체 전자비자 제도 도입 및 인도 단체비자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방탄소년단과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K팝, DMZ를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한다. 민통선 이북 지역 일부와 철거 감시초소(GP)를 잇는 ‘평화의 길 10선’을 올해 상반기 중에 조성해 3개 구간을 시범운영하게 된다.
아울러 해역별 특성에 따라 7대 권역을 설정, 권역별로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해양레저관광 거점으로 조성하고 해양레저관광 거점, 마리나, 해양치유 시설 등을 연결하는 전국 일주 바닷길인 K-오션루트 개발과 함께, 크루즈 관광과 섬 관광도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밖에 고부가 관광산업인 의료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 베트남에 현지 한국의료협력거점센터를 개소하고, 러시아·베트남·중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국가에서 우수한 한국 의료기술을 홍보할 계획이다.
남호철 여행전문기자 hc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