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거래 이력이 적어 신용등급이 낮은 사회초년생이나 주부 등 금융소외계층 중 20만명이 오는 7월부터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5개 시중은행이 통신 가입 여부와 휴대폰소액결제 명세 등의 비금융정보로 이들의 신용을 평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올 하반기부터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통신정보 등 비금융정보를 신용도평가에 활용하는 절차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금감원 측은 “신용등급이 낮아 대출이 거절됐던 금융소외계층 약 20만명의 은행 대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금융거래 이용 경험이 부족한 금융소외계층은 신용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아 대출이 어려웠다. 금융소외계층이란 신용평가시점 기준으로 2년 내 신용카드 사용 이력과 3년 내 대출 경험이 없는 금융이력부족자를 말한다. 사회초년생·주부·고령층 등이 해당한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약 1303만명이 금융소외계층인 것으로 추산됐다.
이들은 신용도가 차등화되지 않고 93%가량은 중위등급(신용등급 4~6등급, 평균 5.2등급)을 부여받았다. 현재 신용평가에 반영 중인 비금융정보는 신용여력 등 신상정보에 국한돼 있는 데다 반영 비중도 15.4%에 불과해 금융소외계층의 신용도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다는 게 금융권의 설명이었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이 여신심사 과정에서 비금융정보를 활용한 재평가 절차를 도입하도록 했다. 5대 시중은행은 올 하반기부터 대출 신청자가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해 대출이 제한되면 비금융정보를 이용해 신용도를 재평가하고 대출 가능 여부를 재심사한다. 도입 일정은 은행별로 다르다. 다른 은행들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또 하반기 중 재평가 절차를 여신심사 단계로 흡수해 여신심사 과정에서 신용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가 대출 승인·금리·한도 등에 차등 반영되도록 관련 제도도 보완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신용조회사의 통신스코어를 통해 신용도를 재평가하면 기존 대출이 거절된 금융소외계층(신용등급 7~8등급, 약 71만명) 중 약 20만명(통신스코어 1∼5등급)이 은행권 대출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