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영석 PD가 수십억의 연봉 때문에 인터넷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고 있다. 나 PD는 CJ ENM 총괄 부사장이나 오너 일가보다 많은 연봉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나 PD는 지난해 급여 2억1500만원, 상여 35억1000만원 등 총 37억2500만원을 받았다. CJ ENM 측은 “사업 부문의 영업이익 지표 및 제작 콘텐츠의 시청률, 화제성, 콘텐츠 판매액 등 계량 측정 지표 등을 성과급 지급 기준으로 삼았다”며 “윤식당2의 최고 시청률 19.4%를 비롯해 신서유기6, 알쓸신잡3 등 콘텐츠 제작 성과와 업무 전문성, PD직군 코칭 및 사업 기여도 등을 감안해 상여금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나 PD의 정확한 연봉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이목이 쏠렸다. 자본공시법 개정으로 지난해부터 상장 기업들의 경우 등기 임원이 아니더라도 연봉 총액이 5억원이 넘는 임직원 상위 5인의 연봉을 공개해야 한다.
‘응답하라’ 시리즈로 유명세를 얻은 신원호 PD도 CJ ENM으로부터 지난해 총 25억94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 PD는 지난해 급여 9900만원, 상여 24억9500만원을 수령했다. CJ ENM 측은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의 최고 시청률 11.2%를 기록한 점과 국내외 콘텐츠 판매 성과 등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는 허민회 CJ ENM 총괄 부사장이나 오너 일가의 연봉보다 많은 액수다. 허 부사장은 12억7700만원을 받았다. 이 중 급여는 6억4900만원, 상여는 6억2800만원이다. 이재현 CJ그룹 회장과 이미경 부회장은 지난해 CJ ENM으로부터 각각 23억2700만원, 21억 3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지난해 CJ ENM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은 지난해 12월 퇴사한 김성수 전 총괄 부사장으로 51억2100만원을 수령했다. 김 전 부사장은 급여 3억8900만원, 상여 34억4600만원, 퇴직소득 12억8600만원 등을 받았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