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의 인적 쇄신' 없었던 일로?…황교안, 당협 전면 재정비 검토

입력 2019-04-01 17:52 수정 2019-04-01 18:01

자유한국당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전국 253개 선거구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 후 당무감사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 황교안 대표 취임에 따른 재정비 차원이라지만 김병준 비상대책위원회가 공개 오디션까지 진행하며 당협위원장을 교체한 지 두 달밖에 안 된 시점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당은 최근 ‘신(新)정치혁신특별위원회’ 산하 공천혁신소위원회 위원 구성을 마쳤다. 소위 위원장으로는 재선의 김선동 의원이, 위원으로는 박완수·송희경 의원과 박민식 전 의원 등이 내정됐다. 오는 3일 첫 회의가 열린다. 소위 관계자는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총선을 1년 앞두고 공천룰의 공정성, 혁신방향 등을 살펴보겠다는 취지다”면서도 “당협위원장 재정비 문제도 원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헌·당규상 총선 1년 전에는 당협위원장직을 모두 내려놓은 상태에서 공천을 진행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현 지도부가 홍준표 전 대표와 김병준 비상대책위 체제를 거치며 이뤄진 당협위원장 교체 결과물을 인정하지 않고, 황 대표 독주 체제를 만들기 위해 급작스레 당협위원장 교체 카드를 꺼내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의 목소리가 나온다.

박상병 인하대 초빙교수는 “아직 공천 문제를 다루기에는 시기적으로 너무 이르다”며 “상황이 무르익지도 않았는데 내부 정비 작업에 착수한다는 것은 친황(친황교안) 인사로 당을 정비해 황 대표 체제를 더욱 공고히 만들겠다는 포석”이라고 설명했다.

당 안팎에서는 지나치게 잦은 당협위원장 교체가 지역구 관리를 더 어렵게 만든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또 공개오디션 등의 정치 실험으로 당협위원장을 선발한 김병준 비대위의 성과가 수포로 돌아갈 경우 거센 반발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비대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비대위의 인적쇄신 작업에는 당 분위기를 바꾸고, 당의 면모를 일신해 국민 신뢰를 되찾겠다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있다”며 “이를 원점으로 되돌리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면 국민들에게는 공천 자리를 둘러싼 아귀다툼의 재개로 비춰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황 대표가 겉으로는 당의 화합과 결속을 외치면서 결국 자신을 돕는 사람들 속에만 둘러싸여 당 진로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