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반려견 분쟁에… 서울 자치구 갈등교육 적극 나서

입력 2019-03-29 15:42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관련 분쟁이 늘어나자 서울 자치구들이 갈등관리에 나서고 있다. ‘펫티켓’ 교육을 적극 실시하고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이들과 함께 걸을 수 있는 산책로를 만드는 등 공존 방안을 모색 중이다.

서울 양천구(구청장 김수영)는 올해부터 반려견 문제행동을 교정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실습형 교육을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교육은 행동교정이 필요한 반려견과 주인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앉아, 이리와, 기다려 배우기’ ‘반려견 수첩 만들기’ ‘산책연습’ ‘일대일 문제행동상담’ 등 이론과 실습 교육이 진행된다. 수업은 다음달 1일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총 5주간 신정동 애견카페에서 진행된다.

강동구 펫티켓 산책교육 모습. 강동구 제공

강동구(구청장 이정훈)은 이달 한 달 동안 반려견 행동전문가와 함께하는 ‘펫티켓 산책교육’을 진행했다. 반려동물과의 공존을 위해 동물을 기르지 않는 이들에게도 필수인 에티켓을 교육했다. 반려동물을 산책할 때 리드줄을 사용하는 방법과 배변 처리 등에 대해 교육하고 다른 반려동물을 대할 때 지켜야 할 에티켓 등에 대해서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용산구(구청장 성장현)는 반려동물 행동분석 전문가인 설채현 수의사와 함께 다음달 3일 용산구청 지하2층 대회의실에서 ‘반려동물 문화교실’을 연다. 설 수의사는 동물보호 기본원칙과 소유자 준수사항, 반려동물 문제행동 원인과 개선방법 찾기 등에 대해 2시간 동안 강의한다.

관악구(구청장 박준희)는 반려동물 시민의식 개선 등을 위한 10가지 주요정책을 내놨다. ‘동물보호명예감시원’ 사업을 통해 관내 도림천 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반려견 외출시 준수사항을 홍보하고 ‘반려견행동교정사업’을 통해 민원발생 가구를 대상으로 행동교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 연중 추진반을 구성해 ‘찾아가는 동물민원 해결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웃 간 개 소음을 조정해주고 유기견이나 들개를 포획하는 등 동물민원 발생 최소화에 나선다.
별도 반려견 산책로를 조성한 강북구 우이천 모습. 강북구 제공

강북구(구청장 박겸수)는 산책 중 애견인과 비애견인의 갈등 민원이 커지자 아예 반려동물 산책로를 별도로 조성했다. 우이천 수유교에서 번창교에 이르는 420m 구간을 반려동물 산책로로 조성했다. 2015년 이 구간이 꾸며질 당시 반려견의 출입 여부를 놓고 주민 의견 충돌이 발생하자 구에서 아예 별도로 산책로를 만든 것이다.

반려동물 시장 규모가 늘어나자 동작구(구청장 이창우)는 관련 일자리를 연계하는 ‘펫시터 양성사업’을 벌이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자격증이나 업무경력(2년 이상)이 있는 주민 중에서 교육생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고 반려동물 돌봄 협동조합 컨설팅을 지원하는 총괄매니저도 선발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