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2023년까지 ‘우리나라 100대 명산’에 무단으로 투기·적치한 폐기물을 수거하고 무허가 시설물 철거에 나선다.
29일 산림청에 따르면 그동안 산림청에서 추진한 산림정화 정책은 쓰레기 줍기, 서명운동 등 캠페인 형태로 진행됐다. 하지만 지난해 국민이 직접 사업을 제안하고 결정하는 ‘국민참여예산제’를 통해 올해부터 정책사업으로 추진된다.
사업 대상은 북한산과 도봉산, 계룡산 등 전국 100대 명산이며 100대 명산과 중복되는 19개 국립공원은 제외된다.
이번 사업은 행위자를 알 수 없거나 불법 투기된 폐기물이 계속해서 방치되며 산림·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마련됐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서울·경기도의 100대 명산 14곳을 조사한 결과 산업폐기물과 건설폐기물 등 예산을 들여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이 2335t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산림청은 오는 2023년까지 약 117억원을 투입해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폐기물과 불법시설물 등 1만4000여t을 수거·철거할 계획이다.
권장현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이번 사업은 전국의 산림 내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시작에 불과하다”며 “사업성과에 따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인 만큼 국민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지난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역사·문화성, 생태적 가치 등이 우수한 100대 산을 우리나라 명산으로 선정했다.
100대 명산은 학계와 산악계 등 전문가가 참여한 선정위원회가 역사·문화성·접근성·선호도·규모·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심사 후 최종 선정됐다.
100대 명산은 국립공원 31곳, 도립공원 15곳, 군립공원 10곳 등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됐으며 가리왕산·운장산·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 16곳, 역사·문화·경관 등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한 산 28곳이 포함됐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