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상중이 때아닌 연기 지적을 받고 있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진행 말투가 그대로 녹아들어 드라마에 집중이 안된다는 이유다. 이른바 ‘그알’ 말투 논란인데, 김상중이 맡은 노대호 캐릭터의 몰입도에 방해가 된다는 시청자들의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MBC가 새롭게 선보이는 금융 오피스 드라마 ‘더 뱅커’가 27일 첫 포문을 열었다. 첫 방송에서는 노대호가 공주지점의 폐쇄를 막기 위해 주민들과 함께 협동조합을 만드는 과정과 본점 감사위원으로 발령받는 모습이 그려졌다. 노대호는 부실기업의 대출을 단칼에 막는 냉철함과 사람을 우선시하는 따뜻함으로 무장한 ‘인간다운 은행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청자들은 “연기는 잘하는데 대사를 할 때마다 너무 웃겨서 집중이 안 된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상중은 ‘그것이 알고 싶다’ 진행과 노대호를 차별화하기 위해 문장의 리듬을 바꾸는 시도를 감행했다. 특히 문장의 끝이 ‘그알’ 말투와는 완전히 달랐다. ‘그알’ 말투의 끝은 대체로 단호하지만 노대호 말의 끝은 음이 내려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끝 음 조정과 깊이 있는 연기만으로는 ‘그알’ 색깔을 지우기는 어려웠다. 시청자들은 문장의 리듬을 바꾸기 위한 노력에 더욱 어색함을 느꼈다.
‘그알’ 말투의 떨어진 무게감도 논란이 커지는 데 한몫했다. 김상중은 2017년 MBC 드라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에서 깊이 있는 사극 연기를 선보였지만, 진행자 이미지는 희석되지 않았다. 그동안 대중은 “그런데 말입니다”로 대표되는 수많은 ‘그알’ 패러디물을 접했다.
‘더 뱅커’에는 유동근, 채시라, 김상중 등 내로라하는 연기파 배우들이 모였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김상중은 드라마의 메시지를 한 몸에 담은 핵심 캐릭터다. 김상중의 그간 쌓은 연기 내공으로 노대호를 설득력 있는 캐릭터로 만들 수 있을지 시청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