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구 흑석동 재개발 지역에 25억7000만원 상당의 건물을 구입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친척인 부동산업자를 통해 매물을 제안받았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팔순 노모를 모실 큰 아파트가 필요했다”며 투기 의혹을 적극 부인했다. 그러나 부동산 투기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 청와대 대변인이 거액 부동산을 구입하면서 이 문제가 정치 쟁점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대변인은 28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제가 결혼 이후 30년 가까이 집이 없이 전세를 살았다. 청와대를 (그만두고) 나가게 되면 집도 절도 없는 상태”라며 “흑석동 건물은 부동산 중개업을 하고 있는 아주 가까운 친척이 살 것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현재 청와대에서 제공하는 관사에 살고 있다.
김 대변인은 시세 차익을 노리고 재개발 지역 건물을 산 게 아니냐는 투기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재개발이 완료되면 아파트와 상가를 받을 수 있다고 알고 있다”며 “현재 저희 팔순 노모가 혼자 생활하고 계시고, 제가 장남이어서 어머니를 모실 넓은 아파트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또 “친척에게 매물을 소개받았을 뿐 별도로 특별한 정보를 취득한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 재산의 절반에 가까운 은행 대출을 받은 데 대해서는 “제 순 재산이 14억원이고 건물 가격은 25억원”이라며 “차액인 11억원이 개인 빚”이라고 말했다. 10억원은 은행대출로, 1억원은 형제자매·처가와의 사인 거래를 통해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김 대변인은 “이미 집이 있는데 또 집을 사거나, 시세 차익을 누리고 되파는 경우가 투기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그 둘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제 나이에 또 (청와대를) 나가서 전세를 살고 싶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10억원 대출 금액이 상당히 많고, 이자 등을 감당할 수 있겠는가’는 지적에 대해서는 “제가 은행 대출금 10억에 대해서 상환할 수 있는 방법과 계획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그 문제는 대단히 사적인 문제이고 가정사와 관련한 문제이기 때문에 답변할 수 없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정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시세 차익을 기대한 것이라는 논란이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여러분이 판단해 달라”고만 답했다. 또한 ‘구입한 건물은 주거용이 아니고, (재개발로) 아파트가 생기려면 시간 차가 발생한다’는 질문에 “그 건물은 살림집과 같이 있는 집”이라며 “제가 청와대를 나가게 될 경우에 어디서 어떻게 거주하게 될지에 대해서 나름대로 제가 생각한바 있으나 그것까지 제가 말씀드리기는 적절하지 않은 거 같다”고 말했다.
청와대 참모들은 1년에 한 차례 재산 변동 내역을 신고할 뿐 건물 구입 여부 등은 사전에 청와대에 보고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당분간 여론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