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현장중심의 예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홍수나 태풍 등 여름철 자연재해에 대비해 지역주민을 안전지킴이로 활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경기도는 용인·평택·파주·광명·광주·여주시 등 6개시에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경기도 풍수해 안전지킴이’ 시범사업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도는 읍·면·동의 재난담당 공무원이 1~2명 정도인 현실적 어려움을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주민을 재난관리업무 보조인으로 채용해 다양한 재난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도는 최근 사전 신청을 통해 6개시에서 총 78명의 풍수해 안전지킴이를 선발했다.
용인과 파주시가 20명으로 가장 많고 평택과 광주가 15명, 광명 5명, 여주 3명이다.
안전지킴이는 평상시에는 농경지 주변이나 하천의 배수문 작동 상태 점검, 배수시설 주변 정비, 배수로 정비 등 시설물 점검과 급경사지, 절개지 등 재해취약지역에 대한 순찰 등이다.
순찰 과정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해당 시청 재난부서에 신고해 조치를 하게 된다.
또 기상특보가 발령되면 하천변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출동해 주민들의 접근을 통제하고, 강풍대비 시설물 정비·저지대 침수지역 배수활동 확인 등 안전 조치도 수행하고, 기상특보 해제 시에는 막힌 배수로를 뚫거나, 도로를 막은 나무나 흙더미 등을 처리하는 등 현장정리도 담당한다.
변영섭 도 자연재난과장은 “안전지킴이 사업은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주민이 제일 잘 할 수 있는 임무를 부여해 주민 안전의식도 높일 수 있고, 일자리도 창출하는 일석이조 사업”이라며 “시범사업이 끝나는 8월쯤 사업효과를 분석한 후 도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도 전역에서 풍수해 안전지킴이 사업을 할 경우 연인원 5만5000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