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대구 방문 당시 위장 경호원의 기관단총 노출에 대한 청와대 해명을 두고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재차 비판했다. 하 의원은 청와대가 해프닝에 불과할 일을 큰 사건으로 확대시킨 옹졸함이 아쉽다고 했다.
하 의원은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노출경호와 달리 위장경호는 시민들 속에 섞여 경호를 담당하는 것인 만큼 무장을 노출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위장경호 중 무기를 노출함으로써 위장 임무에 실패한 것이고 주변 시민들에게 불안감을 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노출경호와 위장경호를 구분 못 하는 청와대”라며 “경호원 단순 구두 경고로 끝날 일을 큰 사건으로 확대시킨 옹졸함이 참으로 아쉽다”고 비난했다. 전날 사복 기관단총 노출경호를 두고 청와대와 하 의원 사이에서 뜨거운 공방이 벌어진 이유에 대해 하 의원은 “청와대가 경호전문가들의 지적을 무시하고 비상식적인 반론을 펴는 것에만 급급했다”며 “문제는 군중 속에 숨어 경호업무를 하는 위장경호원이 기관단총을 드러낸 실수를 범했는데도 청와대가 아무 잘못 없다고 단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첫 성명에서 비표 끊은 행사에서 기관단총 노출 안 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두 번째 사진 공개할 때 비표 끊는 행사인 해군사관학교 졸업식 때 기관단총 노출 사진을 공개하는 자기모순을 보였다”고 한 하 의원은 “노출경호는 무장 위력을 보임으로써 ‘사전 테러 예방’의 더 큰 목적이 있지만 위장경호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위장경호원의 기간단총 노출 문제를 제기했을 때 청와대가 겸허히 수용했다면 단순 해프닝으로 끝났을 것”이라고 한 하 의원은 “야당의원에게 져서는 안 된다는 청와대의 무오류 강박관념에 무리한 반박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마지막으로 “청와대는 지금이라도 사과하고 앞으로 경호는 진정 낮고 열린 경호를 하겠다고 마무리하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한편 하 의원은 지난 22일 문 대통령이 대구 칠성시장을 방문했을 때 경호원이 기관총을 든 모습이 찍힌 사진을 두고 청와대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사전에 아무런 검색도 할 수 없고 무슨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게 시장 방문”이라며 “대통령뿐만 아니라 시장 상인들도 함께 보호하는 것으로 경호의 기본 수칙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