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유튜버인 대도서관이 최근 인터넷 방송에서 농장 이름을 ‘버닝팜’으로 지은 일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비판적인 의견이 달리자 “불법 대출 등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해명했다.
대도서관은 최근 한 네티즌이 “클럽 버닝썬 사건을 연상하게 하는 이름을 따와 게임에 사용한 것은 피해자를 생각하지 않은 행동”이라는 지적하자, 직접 답변을 남겼다. 대도서관은 “절대 그런 의도로 한 게 아니다”면서 “농장에서 불법으로 페이퍼 컴퍼니와 세무 조사 관련해서 풍자한 것이지 절대 다른 의미는 없었다”고 했다. 이어 “그렇게 보였다면 정말 죄송하다. 거기까지 생각 못 했다”고 사과했다.
대도서관은 최근 트위치(게임 관련 인터넷 방송)에서 ‘세무조사 당하는 버닝팜’ 등의 이미지를 활용했다. 농장이 등장하는 게임을 진행하던 중 농장 이름을 ‘버닝팜’으로 지었고 자신도 모르게 대출이 돼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것이 바로 버닝팜이다”라고 말했다. 방송을 지켜보던 다수 시청자가 ‘버닝팜이라고 이름 짓는 게 어떻겠냐’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털사이트에서 영상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민일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유튜브 구독자가 191만명에 이르는 인기 스트리머 '대도서관'의 최근 방송 클립 중 일부입니다. 해당 스트리머는 Farming simulator 19라는 농장게임을 스트리밍 중, 같이 게임을 하던 시청자가 자신 몰래 빚을 진 상황이 대해 "세무조사를 해야겠구만. 이거 완전 버닝팜 아니야."라고 발언했습니다.
— 게임계 내 여성혐오 고발계정 (@famerz_GGYG)
대도서관은 게임 방송을 주로 하는 1인 미디어 제작자로 유튜브에서 19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1인 미디어계의 ‘4대 여신’으로 꼽히는 ‘윰댕’과 결혼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