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2014년 1월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정치권 인사, 군인과 경찰, 고위 공무원 출신에게 고액의 급여를 주고 전방위적 로비에 활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황교안 대표와 김성태 전 원내대표 등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의 채용 비리 논란에 이어 ‘정치권 줄대기’ 의혹까지 더해지면서 KT에 악재가 겹쳤다는 평가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철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KT는 정치권 인사 6명을 비롯해 퇴역 장성 1명, 전직 지방경찰청장 등 퇴직 경찰 2명, 고위 공무원 출신 인사 3명, 업계 인사 2명 등 14명을 ‘경영고문’으로 위촉하고 매월 자문료 명목으로 수백만원의 보수를 지급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KT가 이들을 상대로 지난 2014년 11월부터 지급된 자문료 총액은 약 20억원에 달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친박 실세로 꼽히는 홍문종 한국당 의원의 측근은 3명이 위촉됐다. 이들은 각각 홍 의원의 정책특보, 재보궐 선거 선대본부장, 비서관을 지냈다. 당시 홍 의원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현 과방위) 위원장이었다. 특혜 논란이 일 수 있는 대목이다.
17대 국회 과방위 소속이었던 박성범 전 한나라당 의원은 2015년 9월부터 이듬해 8월까지 활동하면서 KT로부터 매월 517만원을 받았다. 18대 대선 박근혜 캠프에서 활동하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한 남모씨도 2016년 8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매월 62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공무원 출신 경영고문이 정부 사업 수주를 도왔다는 의혹도 나왔다. 이 의원실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 등에서 군 통신 분야 주요 보직을 거친 예비역 소장 남모씨는 2016년 KT가 수주한 ‘국방 광대역 통합망 사업’ 입찰 제안서에 등장한다. KT가 군 인사를 이용해 정부 사업을 따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이철희 의원은 “황 회장이 회삿돈으로 정치권 줄대기와 로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2017년 말 시작된 경찰 수사가 1년 넘게 지지부진한 것도 황 회장이 임명한 경영고문들의 로비 때문이 아닌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다음 달 4일 예정됐던 ‘KT 아현지사 화재 관련 청문회’를 한국당이 거부하고 나서면서 여야가 충돌하는 모양새다. 민주당이 황교안 한국당 대표의 아들과 김성태 전 원내대표 딸의 채용 비리 의혹 등을 놓고 집중 공세를 펼칠 것을 우려해 한국당이 ‘철벽 방어’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KT새노조는 황 대표가 법무부 장관이던 당시 아들이 입사 1년 만에 KT 법무실에서 근무했다고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김 전 원내대표의 경우도 딸이 특혜 채용됐고, 채용 청탁 과정에서 KT내부인사가 전방위적으로 개입됐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