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프랑스 지역관리기업 같은 ‘도시재생기업’ 키운다 ‘도시재생기업’ 키운다

입력 2019-03-22 14:04
지난 1월 SH공사 등 4개 기관이 도시재생기업 육성 및 지원에 대한 MOU를 체결하는 모습. 서울시 제공

프랑스엔 지역의 청소, 건물 관리, 공사 등의 사업을 시행하는 ‘지역관리기업’이 있다. 영국에는 지역 자원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사업을 실행하고 발생한 이윤을 공동체 발전에 사용하는 ‘공동체이익회사’가 있다.

서울시도 올해부터 ‘도시재생기업’을 육성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 강북구 삼양동에서 ‘옥탑방 한달살이’를 한 후 주민 주체의 지역 선순환 경제생태계 구축을 강조한 바 있다. 도시재생기업은 서울 각지에서 벌어지는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고 사업 종료 후에는 지역문제 해결과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간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해마다 25개 내외의 도시재생기업을 육성하기로 하고 기업당 최대 8000만∼2억8500만원의 초기 자금을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일단 올 상반기에 12개 기업을 선정하기로 하고 25일부터 4월 10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는다.

지원 대상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또는 해당 자치구에 소재한 기업, 사회적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 등 주민을 중심으로 전문가와 활동가 등이 결합된 법인이다.



서울시는 지역관리형과 지역사업형, 두 가지로 나눠 지원한다. 지역관리형은 도시재생사업으로 조성된 앵커시설과 주차장, 놀이터, 공공임대주택 등 지역의 공공시설을 운영, 관리한다. 지역사업형은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생산·판매·구매, 서비스 제공 등 주민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관리형 도시재생기업에는 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만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의 초기 자금 지원은 도시재생기업의 사업장이나 사무공간 조성, 사업개발, 교육훈련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기업 활동을 통해 발생한 이윤의 3분의 1 이상은 주민협의체에 지원하거나 마을기금으로 적립하는 방식을 조건으로 지원한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도시재생기업은 주민이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민 일자리도 창출하는 지역 선순환 경제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