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채용 확대 등으로 인해 신입사원 채용 시 직무역량을 중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역량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절반을 넘었다.
구인·구직 중개업체 ‘사람인’이 기업 310곳을 대상으로 ‘직무역량 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신입사원 채용 때 직무역량이 당락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53.9%였다고 22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57.1%는 과거에 비해 직무 역량에 대한 평가 비중이 ‘커지고 있다’고 답했다.
직무역량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실무면접’이 35.2%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관련 인턴 및 아르바이트 경험’(16.5%) ‘전공’(15.5%) ‘프로젝트 수행 경험’(12.3%) ‘관련 자격증 보유 여부’(10%) ‘인적성검사’(6.8%) 순이었다.
해당 기준 항목을 중요하게 판단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실제 직무에 필요한 부분이라서’(50%·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실무지식을 직접 검증할 수 있어서’(38.7%) ‘가장 객관적인 기준 같아서’(26.1%) ‘현재 실무자들도 해당 기준을 충족해서’(8.7%) 순이었다.
자기소개서 항목 중 직무역량을 평가하는 데 영향력이 큰 항목으로는 ‘직무 관련 경험’이 74.2%로 가장 많았다. ‘지원동기’(8.1%) ‘성격의 장단점’(6.8%) ‘입사 후 포부’(3.9%), ‘대외활동 경험’(2.6%) 순이었다.
면접 전형에서 직무역량을 평가하는 데 주로 활용하는 형태는 ‘질의응답 면접’(87.1%)이 가장 많았다. 이외 직접 주어진 상황 하에서 지원자의 직무 능력 수준을 테스트하는 ‘실무수행면접’(7.1%)이나 ‘PT면접’(3.5%)을 실시하는 기업들도 있었다.
면접에서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물어보는 질문으로는 ‘실제 직무 경험’이 45.2%(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직무에 대한 관심과 노력한 경험’(41%) ‘지원 업무 이해 수준’(39.4%) ‘직무 관련 지식 수준 등 테스트’(23.9%) ‘직무에 대한 비전과 포부’(8.1%) 순이었다.
한편 전체 기업 중 스펙을 배제하고 직무역량 평가를 중시하는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하는 기업은 28.4%로 집계됐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사람인,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사원 채용 시 직무역량 비중 커져
입력 2019-03-22 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