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경북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 원인이 국가 연구과제로 진행한 지열발전 실험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부를 상대로 한 포항 시민들의 소송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대한지질학회가 주축인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20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항지진 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단은 지난해 3월 발족해 1년간 연구를 진행했다.
주 원인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민간기업에 의뢰해 진행한 MW(메가와트)급 지열 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프로젝트다. 170도나 되는 포항 흥해읍 지하 4㎞ 부근의 열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내용이다.
이 중 논란이 됐던 부분은 열을 끌어내는 과정이다. 땅 속 깊은 곳의 열을 끌어내기 위해 초고압의 물을 무리하게 집어넣는다. 이 과정에서 불안한 지층을 건드렸다는 지적이 있어 왔고 연구단은 이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놨다.
인재라는 연구 결과가 제기되면서 포항 시민들의 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전에도 힘이 실리게 됐다. 포항 주민들은 지난해와 올해 초 두 차례에 걸쳐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1000명 이상의 주민이 참여했다.
한편 포항 지진은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 지진(규모 5.8)에 이어 지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이다. 역대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한 지진이기도 하다. 당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포항지진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는 모두 2만7317건이며 피해액이 551억원에 이른다고 집계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