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도교육청 명문고 육성 이견 첨예

입력 2019-03-20 10:56 수정 2019-03-20 10:57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 방안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양 기관이 추진할 교육 사업의 핵심은 자율형 사립고(자사고) 설립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형 학교모델 창출인데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도내 22개 교육단체로 구성된 충북교육연대는 20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시종 지사는 자사고 설립 추진을 중단하고 교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교육연대는 “자사고는 특권계층을 위한 귀족학교로 불릴 정도로 고교서열화와 경쟁교육을 유발하고 사교육을 조장한다”며 “교육의 양극화를 부추기는 자사고 설립 추진은 대단히 시대착오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당장 멈추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도민의 미래를 위한 교육적상생방안이 과연 무엇인 지 시대적 요구에 맞는 고민을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도가 내놓은 방안은 자율형 사립고 설립, 전국단위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는 자율학교 지정, 다른 지역에 주소를 둔 공공기관·이전기업 직원 자녀들의 도내 고교 진학 허용 등이다.

도는 충남 아산에 위치한 충남 삼성고와 공주 한일고 등을 벤치마킹 대상으로 보고 있다. 삼성고는 삼성 임직원들의 자녀교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14년 문을 연 학교다. 이를 위해도는 SK하이닉스나 셀트리온 등 여러 기업과 접촉하고 있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의 오송 이전이나 캠퍼스형 학교 설립 등을 통한 명문고 육성을 주장하고 있다.

결국 도의회는 오는 25일 유은혜 교육부 장관과 비공식 면담을 갖고 중재에 나선다. 도의회 교육위원회는 장관과의 면담에서 이들 방안의 실현 가능성을 파악하고 교육부 의견도 들을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위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사실상 도와 도교육청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도의회는 이어 다음 달 학부모와 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토론회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

이숙애 도의회 교육위원장은 “도와 도교육청이 명문고 육성을 놓고 공방을 벌이는 상황에서 도의회가 방관만 할 수 없어 객관적인 확인에 들어가게 된 것”이라며 “어떤 형태의 명문고 설립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충북도와 도교육청은 지난해 12월 무상급식 예산 분담에 합의하는 과정에서 미래인재 육성에 관한 합의서를 교환했다. 이후 명문고 육성을 협의하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