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시민들이 해체된 1군사령부 부지를 시민들에게 돌려달라며 상경 투쟁에 나섰다.
1군사령부 이전부지 환원 원주 범시민대책위원회는 19일 오전 서울 국방부 앞에서 시민 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항의 집회를 열었다. 대책위는 원주시의회와 원주시민연대, 원주여성단체협의회 등 지역 15개 단체로 구성돼 있다.
대책위는 성명서에서 “부지이용 계획은 시와 시민들과 사전에 논의하고 의견을 나누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거쳐서 결정했어야 한다”며 “일방적인 사용방침은 이제라도 철회돼야 하고 1군사령부에 설치된 화력 부대를 즉시 철수하라”고 요구했다.
1군사령부는 1954년부터 원주에 주둔하며 강원도 중동부 전선 방어를 맡아왔다. 그러다 정부의 ‘국방개혁 2.0’에 따라 지난해 12월 31일 공식 해체됐다.
1군사령부 해체 소식에 시민들은 1군사령부 부지가 시민들에게 환원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동안 1군사령부가 원주 북부권 중심인 태장동에 위치해 도시의 발전을 막아왔기 때문에 시와 시민들은 부지가 환원되면 지역 발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지난 1월 이곳에 미사일 지휘부대를 이전한 데 이어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여단 창설식을 갖고 부대 운영에 들어갔다. 게다가 다른 부대의 추가 배치도 예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각중 대책위 상임대표는 “부대 바로 옆에 4만20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며 “미사일 부대는 시내 중심이 아니라 산속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부지가 환원될 때까지 천막농성과 1인 시위, 시민 서명운동 등을 전개하기로 했다. 앞서 대책위는 지난 9일부터 옛 1군사령부 정문 앞에서 천막농성에 들어갔으며 1인 시위도 벌이고 있다.
원주시도 국방부에 1군사령부 터를 시민에게 돌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환원 방안으로 전체 62만㎡의 면적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14만㎡에 군 역사 자료실과 체험시설 등을 갖춘 평화박물관, 공원 등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최근 대책위에 보낸 답변서에서 “1군사령부 이전부지와 시설은 군의 임무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돼 다시 활용한다. 향후 필요한 설명을 드리고 의견을 구해 상생할 방안을 찾는 자리를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