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18 기념재단 헬기사격 증거 찾는다.

입력 2019-03-19 14:23
광주지역 5월 단체들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헬기사격을 지시 또는 방조했다는 증거자료를 찾고 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헬기사격이 없었다는 전씨의 주장이 허구라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5·18기념재단은 19일 “5·18 당시 주한미군 정보부대가 작성한 보고서 등을 확보해 그날의 진상규명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 측은 해당 보고서에 옛 전남도청 앞에서 계엄군의 최초 집단 발포와 헬기 사격이 이뤄진 1980년 5월 21일 전씨가 광주 제1전투비행단을 방문했다는 내용이 들어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한미군 정보부대 소속으로 5·18 당시 광주 제1전투비행단 인근에서 근무한 김용장씨가 지난 14일 JTBC 인터뷰를 통해 증언한 데 따른 것이다.

재단 측은 김씨가 미국 CIA를 거쳐 백악관까지 보고한 문건을 찾으면 향후 5·18 진상조사위가 규명할 당시 발포명령자에 대한 핵심 증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5·18 당시 헬기사격은 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과정에서 이미 사실로 드러났다.

특조위는 지난해 2월 “육군이 공격헬기 500MD와 기동헬기 UH-1H를 이용해 80년 5월 21일과 5월 27일 광주시민을 상대로 수차례 사격을 가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당시 송영무 국방부장관이 광주시민들에게 직접 사과하기도 했다.

2017년 9월부터 5개월 동안 62만쪽에 이르는 방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특조위는 “당시 계엄사령부가 21일부터 문서 또는 구두로 헬기사격을 지시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무장헬기 코브라 2대를 광주에 내려 보내니 광주 시내에 있는 조선대 뒤쪽 절개지에 위협 사격을 하라’, ‘코브라로 무차별 사격을 하라' 등 구체적 헬기사격 명령도 공개했다.

5·18기념재단 조진태 상임이사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아직 확보하지 못한 기록물을 찾고 있다”며 “미군 정보부대에서 일하던 김씨가 생산한 문서가 2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전씨는 지난 11일 고 조비오 신부에 대한 사자 명예훼손 피고인으로 광주지법에 출석한 자리에서 변호인을 통해 헬기사격을 부인한 바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