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대전사업장 폭발사고 책임자 6명 입건…원인규명 언제쯤

입력 2019-03-15 10:56 수정 2019-03-15 10:59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 수사관들이 지난달 15일 오후 대전 한화공장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한 뒤 압수품을 들고 지방청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뉴시스

경찰이 한화 대전사업장 폭발 사고와 관련해 공정책임자 6명을 입건한 가운데 사고 원인이 언제쯤 밝혀질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따르면 대전사업장에서 폭발을 일으킨 추진체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물, 총포·도검·화약류등의안전관리에관한법률 상 화약류로 분류돼 있다. 폭발에 매우 민감한 만큼 마찰 및 충격, 정전기 등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인 분야다.

경찰은 현재 “추진체와 코어를 분리하는 과정인 ‘이형’ 작업 시, 코어와 이형기계의 중심이 맞지 않으면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작업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이에 대해 집중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마찰에 따른 폭발 가능성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주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대전고용노동청, 산업안전보건공단 등과 함께 한화 대전사업장 내 기술센터에서 합동으로 실험을 진행 중이다.

대전 유성구 외삼동 한화 대전공장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대전지방경찰청 과학수사대 차량이 지난달 15일 오전 현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뉴시스

이들 기관은 사고를 일으킨 당시 사용된 것과 비슷한 설비를 제작해 공정을 재현, 정전기적 요인때문에 폭발이 발생하는 지에 대한 모의실험을 반복해서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험은 내달 초까지 진행될 예정이지만 경찰은 사고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기까지는 시일이 조금 더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험 결과가 도출돼도 다양한 부분에서의 검증절차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공정을 재현해서 모의실험을 하고 있다. 제기된 원인이 과학적으로 발생 가능한 지 검증하는 작업중”이라며 “아마 시일이 오래 걸릴 것이다. 실험 결과가 나와도 여러 부분으로 검증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직원과 사업장장, 공정관리 책임자 등 회사관계자 30여명을 조사한 경찰은 지난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공정관리 책임자 6명을 입건했다. 조사 과정에서 입건되는 인원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