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통계청은 12일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29만1000원으로 나타났다. 2007년 사교육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2015년 24만4000원, 2016년 25만6000원, 2017년 27만2000원으로 매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사교육을 하는 학생만 놓고 보면 39만9000원으로 40만원에 육박했다. 지난해에는 38만2000원 수준이었다.
초·중·고교 모든 학교급에서 1인당 사교육비가 증가했는데 특히 고교생의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초등학생은 26만3000원으로 지난해보다 3.7%, 중학생은 31만2000원으로 7.1%, 고교생은 32만1000원으로 12.8% 증가했다. 예년까지는 중학생이 고교생보다 사교육비를 많이 썼왔지만 지난해 고교 사교육이 중학교 사교육을 앞질렀다.
사교육비 통계는 매년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하는 법정 통계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의 경우 학부모 인식과 적지 않은 격차가 있다. 학부모들은 “과외 한 과목만 받아도 수십 만원이 들어가는데 현실과 괴리돼 있다”고 지적한다. 교육부도 사교육을 아예 받지 않는 학생까지 포함한 평균치이고, 학부모 설문에 의존한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인정하고 있다. 다만 사교육비의 흐름을 읽는 용도로는 무의미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모든 교과에서 사교육비가 증가했다. 국어는 월평균 2만1000원을 지출했는데 전년 대비 12.9% 상승한 수치다. 영어는 8만5000원(7.2% 상승), 수학 8만3000원(5.5% 상승) 사회·과학 1만2000원(7% 상승)이다. 예체능 및 취미·교양 분야도 7만6000원으로 5.8% 증가했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사교육비 격차는 줄었다. 그러나 저소득층 사교육비가 늘어 양극화가 완화되고 있어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저소득층 가정은 2017년 9만3000원을 지출했는데 지난해 9만9000원으로 5.9% 증가했다. 저소득층 사교육비는 2016년 이래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8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경우 48만3000원에서 50만5000원으로 4.5% 늘었다. 2017년 5.2배였던 격차가 지난해 5.1배로 감소했다.
더 큰 문제는 올해 사교육비(내년 발표) 전망도 그리 밝지 못하다는 점이다. 먼저 교육 당국이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대입 개편 논란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해 사교육비가 늘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대입 안정화와 공교육 경쟁력 강화, 학원비 안정화, 방과후 교실 안정화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학부모들은 고통 받고 있는데 장기적으로 사교육 수요를 줄이는 정책 일색이다.
게다가 올해는 국어 사교육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지난해 수능 국어 31번 논란의 여파로 속독학원이나 국어 킬러문항 전문 강좌에 학생이 몰리고 있다. 국어 31번 같은 킬러문항은 교사도 풀기 어렵다는 평가다. 공교육에서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를 수능에서 내면 사교육으로 학생을 내모는 결과를 초래한다. 영어 절대평가 전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는 절대평가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어렵게 출제되고 있다. 또한 드라마 ‘스카이 캐슬’ 여파로 사교육 컨설팅 비용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소득층 전유물로 여겨졌던 패키지형 입시 컨설팅이 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중산층에서도 찾는 분위기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