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2주년을 하루 앞둔 9일 각기 다른 관점의 논평을 냈다. 자유한국당은 공식 논평을 내지 않고 침묵했다.
여당인 민주당은 한국당에서 제기된 ‘박 전 대통령 사면론’을 강하게 비판했다.
서재헌 민주당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박 전 대통령의 사면 및 석방 요구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합리적 보수정당의 길을 스스로 배척하는 것”이라며 “황 대표와 나 원내대표는 오직 친박의 아바타 역할만 수행하며 제1야당을 우경화의 길도 모자라 퇴행의 길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형 선고도 받지 않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해 ‘형이 확정된 경우에만 가능한 사면’을 거론하고 있다는 것은 촛불혁명의 주역인 대한민국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임이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평화당과 정의당도 각각 한국당을 향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박주현 평화당 수석대변인은 구두 논평을 통해 “탄핵 2주년은 한겨울 내내 한마음으로 공평과 정의의 대한민국을 염원했던 촛불 민심을 다시 되새기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탄핵에 책임 있는 세력이 중심이 된 한국당이 선거제 개혁을 노골적으로 방해하면서 의원직 사퇴 운운한다”며 “역사를 거스르는 비정상적인 정치에 대해서도 탄핵이 필요하다는 것이 탄핵을 이루어냈던 촛불 민심”이라고 논평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도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의 입에서 거론된 박근혜 사면은 최고 헌법기관의 판결과 촛불혁명에 대한 불복이자 거부”라며 “헌법 질서와 국민은 아랑곳하지 않고 ‘친박 제일주의’를 드러낸 것으로 사실상 ‘도로 친박당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은 민주당과 한국당을 동시에 비판하며, 촛불 정신이 제대로 구현되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한쪽에서는 탄핵 부정 세력이 활개를 치고, 한쪽에서는 슈퍼 ‘내로남불’이 활개를 친다”며 “탄핵 2주년에 촛불정신과 탄핵 정신은 과연 올바로 구현되고 있는지 심각한 회의를 던지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