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조만간 미사일 또는 우주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 공영라디오 NPR은 지난달 22일 북한 평양 산음동 미사일 종합연구단지 시설 내에서 여러 대의 자동차가 주차된 모습과 두 대의 기중기, 열차 등이 촬영된 사진을 공개하며 8일(현지시간) 이같이 전했다.
촬영 이미지를 조사한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프로젝트 연구담당은 “이미지를 종합해 보면 북한이 로켓을 조립하는 과정 중 모습과 정말 유사해 보인다”면서 “다만 북한이 군사용 미사일 발사를 준비 중인지, 민간 위성용 로켓 발사를 준비 중인지는 구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확히 언제 발사가 이뤄질지에 대해서도 예측하긴 힘들다고 그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후 8일 샌프란시스코 소재 ‘플래닛’사가 촬영한 다른 산음동 위성사진에선 이 지역 차량 활동이 줄어들고 두 대의 기중기 중 한 대가 사라졌다. NPR은 이에 대해 “작업이 일시 중단됐거나 이미 제작이 완료된 로켓 또는 미사일이 산음동 시설을 떠났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만약 로켓 또는 미사일이 산음동 시설을 떠났다면 동창리 기지로 옮겨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루이스는 북한이 실제 발사하려 하는 게 군사용 미사일이 아닌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더불어 북한이 인공위성용 로켓을 발사할 경우 이를 공격적 행보로 해석해선 안 된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원어스퓨처재단의 북한 전문가 멜리사 한햄은 “플래닛사 이미지에 따르면 (무언가를 실은) 열차가 역을 떠났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도 “불행하게도 열차 안에 무엇이 있는지, 이것이 민간 우주발사체인지 군사용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북미) 두 당사자가 가까워지기보단 점점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면서 “우주발사체에 대한 미국의 과민반응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38노스는 지난 6일 촬영된 상업위성이미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동창리 기지 내에 미사일 발사대 및 엔진 시험대가 재건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한 바 있다. 국정원 역시 지난 5일 국회 정보위 비공개 간담회에서 산음동 미사일 종합연구단지에서 물자 수송용 차량이 포착됐다고 보고했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동창리 기지에서 우주발사체를 발사하더라도 북한의 약속 위반으로 간주한다”고 지난 7일 언론 백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美 라디오 매체 “북한, 조만간 미사일이나 우주로켓 발사할 가능성 있어”
입력 2019-03-09 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