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접대와 탈세, 산더미 의혹에도 군대 간다는 승리…들끓는 여론

입력 2019-03-09 06:30


그룹 빅뱅 멤버 승리가 사내이사를 지냈던 강남 유명클럽 ‘버닝썬’의 세금 탈루 의혹이 제기됐다. 승리가 홍콩에 설립한 투자회사는 조세 회피용 페이퍼컴퍼니일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마약 투약과 유통, 성접대 의혹에 이어 탈세 의혹까지 ‘버닝썬 사태’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지만 정작 승리는 다음달 25일 육군에 입대할 것이라고 밝혀 빈축을 사고 있다.

◇새롭게 제기된 세금 관련 의혹들

버닝썬은 손님들에게 현금 결제를 유도해 매출을 조작하는 수법으로 탈세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손님들이 지불하는 거액의 술값을 영업담당 MD들이 개인통장으로 받은 뒤 이를 버닝썬 법인계좌로 다시 입금하는 식으로 매출을 조작했다는 것이다. 버닝썬에는 세무조사에 대비해 만든 가짜 메뉴판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탈세 의혹의 다른 축에는 승리가 설립한 해외 투자법인도 등장한다. 경향신문은 8일 승리가 사업파트너이자 배우 박한별의 남편인 유모씨 등과 함께 2016년 3월 홍콩에 ‘BC홀딩스’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는 승리가 유씨와 함께 세운 유리홀딩스의 글로벌 투자법인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홍콩에 법인을 설립해 운영하는 게 불법은 아니지만 BC홀딩스의 경우 현지 사무공간이 따로 없고 사업 실체가 불분명하다며 조세회피용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특히 홍콩이 역외소득에 세금을 매기지 않는 등 아시아의 대표적 조세회피처라는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BC홀딩스 측은 “홍콩 법인은 조세회피처와 관계 없다”며 “실제 투자 검토 및 집행 등 정상적 기업활동을 수행하는 회사고, 우리은행 홍콩지점을 주거래은행으로 해 홍콩 세법에 따라 세금을 납부하게 돼 있다”고 반박했다.




◇성접대와 마약 유통 의혹…확산되는 수사

승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 전 국민의 시선이 쏠려있던 지난달 27일, 경찰에 자진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각종 마약 유통과 ‘물뽕’을 이용한 성범죄, 경찰과의 유착 의혹이 제기된 클럽 버닝썬의 운영과정에 그가 어느 선까지 개입했는지가 핵심이다. 승리는 경찰 조사에서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승리가 2015년 12월 VIP고객에게 성접대를 한 정황이 담긴 카카오톡 대화방 메시지도 국민권익위원회가 확보해 조사중이다. 경찰도 관련 카톡 메시지를 확보해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성접대 정황이 확인될 경우 승리를 추가 소환할 방침이다. 성접대 정황이 담긴 카톡의 존재가 처음 알려졌을 당시만 해도 조작이라며 법적 대응하겠다고 밝혔던 승리 측은 경찰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말을 바꿨다.

경찰은 버닝썬 이문호 대표의 마약 투약 혐의를 비롯해 버닝썬의 마약공급책으로 알려진 20대 중국인 여성(일명 ‘애나’)에 대해서도 조사중이다.


◇“군대가 도피처냐” 불붙은 여론

눈덩이처럼 의혹이 불어나자 승리는 3월 예정됐던 일본 오사카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콘서트 일정을 전면 취소했지만 군에 입대하겠다고 밝혀 여론이 들끓고 있다. 버닝썬 관련 수사가 진행중이고 새로운 의혹들이 터져나오는 시점에 승리의 군 입대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승리가 의경 시험을 봤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여론이 악화됐다. 그러자 소속사인 YG엔터테인먼트는 이를 반박하며 승리가 다음달 25일 육군 현역 입대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여론은 여전히 싸늘한 상태다.

승리의 육군 입대 소식이 알려진 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승리 입대를 반대하는 청원이 잇따라 올라왔다. 한 청원인은 “승리는 마약과 성매매 알선, 탈세 의혹을 받고 있다”며 “사건만 터지면 군대로 도망가는 공인들 이제 못보겠다. 이런 일이 없도록 군 입대를 미루고 철저하게 조사해달라”고 썼다.

다른 청원인도 “승리 군 입대는 순수한 마음으로 대한민국 청년이면 누구나 하는 병역의 의무를 다하려 하는 게 아니라 경찰 조사를 피하기 위해 현역 입대를 하는 걸로 보인다”고 적었다.

병무청은 입대 전이라도 승리의 혐의가 인정될 경우 입대를 연기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실제 연기가 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입대까지 2주 정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승리의 혐의가 입증될지 단언하기 어렵다. 그 전에 혐의가 입증되지 않을 경우 군의 협조를 얻어야 해 조사가 지지부진해질 가능성도 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