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표 체제의 자유한국당이 친박(박근혜) 색채를 풍기며 출범하는 데 대해 비박계 좌장으로 불리는 김무성 의원은 “조금 아쉬운 감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인사가 더 남아있으니 아직 단정해서 (친박 강화 등으로) 얘기할 때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 미래’ 토론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친박 성향 인사들이 주요 당직을 차지했다는 평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또 “(황 대표가) 어떻게 할 건지 지켜보면서 적극 협조해야 할 입장에서 황 대표가 하는 일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김 의원은 ‘비박계 내부에서 반발이 크지 않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자꾸 친박, 비박 하는데 친박의 실체는 있는 것이지만, 비박은 실체가 없다. 비박을 한 카테고리로 묶는 것은 잘못”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제 친박, 비박 (구분)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모두가 마음을 비우고 정말 단결해서 이 나라를 망치고 있는 문재인정부와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황 대표와 소통은 있느냐’는 물음에는 “전혀 없다”고 대답했다. 한국당의 우경화 우려와 관련해서는 “당이 극우로 가는 것은 막아야 한다. 그런 경향이 있으면 저희가 나서서 그렇게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의 발언은 당내 ‘비박·복당파’의 현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7개월 간의 비상대책위원회 시절을 끝내고 전당대회 선거를 통해 새 지도부가 세워진 만큼 당장의 분란 상황은 연출하지 말자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한 복당파 의원은 “친박 인사들이 중용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앞으로 3~4개월은 이른바 허니문 기간으로 보고 지도부가 하는 일에 가타부타 말을 하지 않으려 한다”고 전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