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4일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청와대로 초대해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북한과 함께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후손들과 오찬을 하고 “남북 관계가 앞으로 좀 더 발전한다면 우리가 독립운동가들을 더 많이 발굴하고 후손들을 찾아서 더 대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100년의 역사, 함께 기억하겠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날 오찬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이 독립운동가들을 잊지 않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국, 중국, 러시아, 브라질, 호주, 카자흐스탄, 영국, 캐나다 등 8개국에서 온 독립유공자 후손 64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 브라질 뿐만 아니라 아주 멀리에서 오신 분들이 많다. 자세한 말씀을 하시지 않았지만 그렇게 아주 먼 여러 나라에서 이렇게 흩어져서 살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 독립운동가들의 후손이 겪어야 했던 여러 가지 고생들을 말해 주고 있지 않은가 싶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과거 우리나라에는 친일을 하면 3대가 떵떵거리고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이 있었다”며 “그런 것을 바로잡는 것이 해방된 조국이 해야 될 일인데, 우리 역대 정부가 그런 점에서 부족한 점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아직도 찾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많고, 독립운동가는 찾아서 서훈까지 다 마쳤는데 그 후손을 찾지 못해서 서훈을 제대로 전하지 못한 그런 분들도 아직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러분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마음을 기억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찬에는 일제강점기 광복군 비행학교 교관을 지낸 공로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은 장병훈 선생의 외손녀인 심순복(미국 거주), 영국 출신 독립운동가로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선생의 손녀 수잔 제인 블랙(영국 거주) 등이 자리했다.
또 박유철 광복회장, 전춘희(전성걸 선생의 자녀·호주 거주), 한희정(한철수 선생의 손녀·호주 거주), 송잔나(이원수 선생의 손녀·러시아 거주), 허춘화(의병장 허위 증손녀·러시아 거주), 이승희(중국지역 독립운동 사료 수집 및 후손 발굴 기여)씨 등도 함께 했다. 철원에서 3·1운동을 이끈 강기준 선생의 며느리 강정옥씨는 지병악화로 불참했다.
정부와 청와대에서는 피우진 국가보훈처장과 한완상 위원장을 비롯해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김수현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이용선 시민사회수석, 김유근 안보실 1차장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