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월 국회 열자” 공감대, 의제는 동상삼몽

입력 2019-03-03 16:26 수정 2019-03-03 16:32

여야가 ‘3월 국회’를 열기 위한 막판 협상에 나섰다. 국회가 소집되더라도 여당과 제1야당, 나머지 야당들이 강조하는 의제가 제각각이어서 기싸움이 치열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은 3일 원내수석부대표들이 회동을 갖고 국회 정상화를 논의했다. 여야는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민주당 출신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 등을 놓고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2차 북·미 정상회담과 한국당 전당대회가 끝난 만큼 더 이상 국회 정상화를 미룰 수 없다는 데 여야 모두 공감하고 있다. 4일에도 여야 원내대표 회동과 당대표 모임인 ‘초월회’에서 국회 정상화를 논의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3월 국회에서 각종 민생 법안처리를 강조하고 있다.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최저임금제 개편 관련 법안 등이 핵심이다. 권미혁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영어교실, 체육계 성폭력, 쌀 목표가격 결정 등 민생 현안들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 대기 중”이라며 “지금은 일단 국회를 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반면 한국당은 국회가 열리면 북·미 정상회담 결렬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 대응, 환경부 블랙리스트 논란 등에 대한 공세에 나설 전망이다.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총체적인 국정 난국”이라며 “북·미 정상회담은 예측에 실패했고 중재도 실패했다. 내치에 있어서도 권력형 블랙리스트, 소득주도성장으로 인한 골목경제 붕괴 등 문제가 넘친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3월 국회에서 선거제 개편 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은 “일단 가장 큰 것은 선거제도 개혁 문제”라며 “야 3당은 원칙적인 연동형비례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고, 민주당은 ‘절충형’을 요구하고 있어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문재인 대통령이 조만간 개각을 단행하면 국회에 ‘인사청문회 정국’이 열리면서 여야 간 공방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임성수 이형민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