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 정상회담이 예상과 다른 결말을 맺은 영향이 국내 금융시장에 얼마나 이어질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직격탄을 맞은 남북 경제협력 관련주와 이를 담은 ‘통일펀드’에 대한 우려가 크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지난달 28일 코스피지수는 39.35포인트(1.76%) 떨어지며 2200선 밑으로 가라앉았다. 지수 하락률은 지난해 10월 23일(2.57%) 이후 가장 컸다. 코스닥지수도 2.78% 하락하며 731.2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는 장 막바지 북·미 정상의 오찬 취소 소식이 알려진 직후 곤두박질쳤다. 오후 3시 전후 회담 결렬 징후가 전해지자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약 30분 만에 주가가 내린 것이다. 촉박한 시간 내에 시장에 악재가 반영된 만큼 시간이 흐르면 이번 회담 결렬 영향은 축소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다만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은 있다. 특히 북한의 비핵화 기대감이 가져왔던 경협주는 이번 일로 상승 모멘텀이 사라지게 됐다. 이로 인해 최근 기지개를 켰던 통일펀드의 타격도 클 전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부터 2차 북·미 정상회담 전날인 지난달 27일까지 국내 주요 통일펀드 수익률은 상승세를 탔다. ‘KB한반도신성장증권투자신탁’과 ‘하이코리아통일르네상스증권자투자신탁’이 10%대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증시 침체와 남북 화해무드 재료가 소멸로 ‘마이너스 성적표’를 받아들었다가 최근 회복세를 되찾은 것이다. 하지만 지난달 28일 대부분 경협주들이 10% 이상의 낙폭을 보인데다 추가 조정 가능성도 적지 않아 수익률도 악영향을 받게 됐다.
정부도 지난 1일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 주재로 ‘긴급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회의’를 열고 대응에 나섰다. 오는 4일에는 이호승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제63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북·미 정상회담의 시장 영향 및 전망을 논의할 예정이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