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회담·전당대회 종료…국회 정상화 협상 나서는 여야

입력 2019-03-02 11:06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등 초대형 변수가 마무리되면서 국회 정상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각 당은 제각각 3월 임시국회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국회 정상화 조건을 둘러싼 여야 입장 차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등 여야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은 지난달 28일 오전 한 차례 국회에서 모여 정상화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3당 원내대표는 1일 임시국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하고 4일 국회를 정상화하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회동 후 “한국당 전당대회도 끝났기 때문에 국회 정상화 논의를 해야겠다고 해서 만난 것”이라며 “‘이른 시일 안에 국회를 정상화 하자’ ‘실무적인 논의를 계속하자’고 이야기 했다”며 “주말에도 필요하면 실무 논의를 해야 할 것 같고 (여야) 원내대표는 다음주 초 만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내주 중에는 여야가 국회 정상화의 물꼬를 틀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야가 모두 3월 임시국회 소집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고, 갈수록 거세지는 국민적 비난에 부담을 느끼기 때문이다. 주말 사이에도 실무를 맡은 원내수석부대표들 간의 물밑 협상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관건은 여야가 각자 내세우는 국회 정상화 조건을 둘러싸고 입장 차를 얼마나 좁히느냐다. 일단 ‘손혜원 국정조사’ 실시 여부를 두고 민주당과 한국당이 얼마나 양보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밖에 한국당은 김태우 전 검찰 수사관의 청와대 특별감찰반 관련 폭로와 환경부 블랙리스트 의혹 관련 특검과 국정조사도 요구하고 있다.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추진 중인 선거제도 개혁 패스트트랙(신속처리 안건) 지정도 세부 조율 과정에서 잡음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