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다음 날인 1일 “지금으로서는 미국과 회담을 계속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최 부상은 이날 오후 숙소인 하노이 멜리아호텔 로비에서 연합뉴스 등과 만나 ‘미국이랑 대화를 계속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 같이 답했다. 그러면서도 “우리의 요구사항이 해결된다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대화 재개가능성을 열어뒀다. 회담 결렬 후 양측 실무진 추가 논의는 아직까지 하지 않았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실망감이 크냐’는 질문에는 “실망보다는 미국의 거래 방식이나 계산법에 대해 굉장히 의아함을 느끼고 있다”며 “생각이 좀 달라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다.
‘미국은 영변 핵 시설 폐기 이외 추가조치를 내놔야 제재를 완화하겠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이번 회담에서 미측이 굉장히 사리가 맞지 않았다. 신년사부터 시작해서 상응 조치가 없으면 ‘새로운 길’을 찾겠다는 입장도 표시했기 때문에 이제는 정말 뭐가 돼도 돼야 한다는 생각하고 있다”며 “미국 측의 반응 보고 많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광범위한 품목의 제재 해제를 요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북이 해제를 요구한 건)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시험에 관한 제재였다”며 “15개월 동안 이를 중단하고 있는데도 유엔이 전혀 해제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영변 핵 시설 폐기를 언급하면서는 “아직 핵 시설 전체를 폐기 대상으로 내놔 본 역사가 없는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15개월 중지, 핵실험 중지 두 사안을 가지고도 응당 프로세스가 돼야 할 유엔 제재 결의들이 안 된다고 얘기하니 혼돈이 온다”고 했다. 또 “어디에 기초한 회담 계산법인지 (모르겠다). 우리가 지금 이런 회담에 의미를 둬야 되는지 다시 신중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영변에 대해서 정말 깨끗하게 폐기할 입장을 내놨다”며 “우리가 한다는 ‘폐기’는 미국 핵 전문가들을 초청해서 명백하게, 투명하게 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