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트럼프 주장 반박한 리용호 외무상 “민생에 대한 일부 해제 요구”

입력 2019-03-01 07:03 수정 2019-03-01 07:14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협상 결렬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리 외무상은 북한이 요구한 것은 전면적인 제재 해제가 아니라 민생에 대한 일부 해제였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정상회담 결렬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전면적인 대북 제재 해제를 요구했다’고 밝힌 것과 상반된다. 리 외무상은 오히려 미국 측이 영변 지구 핵시설 폐기 조치 외에 한 가지를 더해야 한다고 끝까지 주장해 협상이 결렬됐다는 주장했다.






리 외무상은 1일(현지시각) 0시10분쯤 김 위원장의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리 외무상은 “질문을 받지 않겠다”는 말로 시작해 자신의 양복 주머니에서 미리 준비한 문서를 꺼낸 뒤 협상 결과에 관해 설명하기 시작했다.

“조미 대한민국의 수뇌분들은 이번에 훌륭한 인내력과 자제력을 가지고 이틀간에 걸쳐 진지한 회담을 진행했다”고 한 리 외무상은 “우리는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있었던 제1차 조미 수뇌 상봉과 회담에서 공동 인식으로 이끈 신뢰 조성과 단계적 해결 원칙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 현실적인 제안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미국이 유엔 제재의 일부, 즉 민수 경제와 특히 인민 생활에 지장을 주는 항목에 제재를 해제하면 우리는 영변 지구의 핵 시설을 미국 전문가들과 함께 영구적으로 폐기한다는 것”이라고 한 리 외무상은 “우리가 요구한 것은 전면적인 제재 해제가 아니라 일부 해제”라고 반박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결렬 직후 자신의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에서는 전체적인 해제를 요구했지만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고 말했었다.

그러나 리 외무상은 구체적으로 유엔 제재 결의 11건 중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채택된 5건, 그중에서도 민생 경제와 인민 생활에 지장을 주는 항목들만 먼저 해제하라고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조미 양국 사이에 신뢰 수준을 놓고 볼 때 현 단계에서 우리가 내 짚을 수 있는 가장 큰 보폭의 비핵화 조치”고 주장한 리 외무상은 “비핵화 조치를 취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원래 안전 담보 문제지만 미국이 아직 군사 분야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보고 부분적 제재 해제를 상응적 조치로 봤다”고 설명했다.

리 외무상은 또 “우리는 미국의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시험 발사를 영구적으로 중지한다는 확약도 문서 형태로 줄 용의를 표명했다”며 “이 정도의 신뢰 조성 단계를 거치면 앞으로 비핵화 과정은 더욱 빨리 전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회담 과정에서 미국 측이 영변 지구 핵시설 폐기 조치 외에 한 가지를 더해야 한다고 끝까지 주장했고 미국이 우리의 제안을 수용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한 리 외무상은 “이런 기회마저 다시 오기 힘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완전한 비핵화로의 여정에서 반드시 첫 단계 공정이 불가피하며 우리가 내놓은 최대의 공정이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라며 “우리의 이런 입장에는 추호도 변함이 없을 것이고 앞으로 미국 측이 협상을 제기해오는 때도 우리의 방안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