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 정상회담이 파국을 맞이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시계(視界) 제로’ 상황에 돌입했다. 청와대는 당초 북·미 정상회담 결과가 나오는 데로 김 위원장 답방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 상황에서 모든 것이 ‘올 스톱’ 될 위기에 빠졌다.
청와대는 28일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북·미 정상회담이 막 끝났기 때문에 답변을 할 만한 근거가 별로 없다”며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 깊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의 청사진이 도출됐다면 남북 경제협력이 다시 가시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여기에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통해 남북 관계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구상이었다. 유엔의 대북 제재는 물론 미국의 독자 제재를 해제할 명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완전히 틀어지면서 문 대통령의 ‘한반도 신(新)운전자론’에도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문 대통령은 우선 3·1절 100주년 기념사를 통해 신한반도 체제 구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겠다는 당초 계획은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신한반도 체제의 기본 정신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우리의 준비와 의지는 변함없다”며 “문 대통령도 내일(3월 1일) 그 내용을 말씀하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