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화의 바다공원’ 조성해 중국의 싹쓸이 어획 막는다

입력 2019-02-28 15:32
강원도가 남북 평화 분위기에 발맞춰 ‘남북 해양수산 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중국 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을 막기 위해 북한 해역에 ‘평화의 바다공원’을 조성, 남북 공동어로 조업을 펴기로 했다.

강원도환동해본부는 28일 오전 강원도청에서 남북 해양수산 교류협력사업 계획 기자설명회를 가졌다. 환동해본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4434억원을 투자해 평화의 바다공원 조성 등 16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평화의 바다공원 사업은 동해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육지는 남북 20㎞, 바다는 동서 37㎞를 대상으로 수산자원 등을 공동이용하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다. 해상에선 평화수역(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해 남한이 어선과 장비를 북한이 선원을 제공하는 형태로 함께 조업을 실시한다.

동해안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명태종자 공동 방류, 명태 양식단지 건립, 돌기해삼·연어 등 바다양식장 조성 등의 사업도 펼 계획이다.

육지에선 동해안 접경지 남북 어촌마을을 평화·상생 특화마을로 지정해 북한 해수욕장 개방 등 해양관광 사업을 편다는 구상이다.

특히 중국 어선의 싹쓸이 조업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동해안의 해양 자원 회복을 위해 북한 경제수역 조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강원도는 북한에 연간 211억원의 입어료를 지급해 북강원도 앞바다에 우리 측 오징어채낚기 어선 입어를 추진할 방침이다.

변성균 환동해본부장은 “공동어로구역 설정과 공동조업, 북한 경제수역 조업 등은 초기 시설 투자 없이도 조기에 성과를 낼 가능성이 크다”며 “유엔 안보리 대북제제가 완화되면 정부와 협력해 북한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